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 남녀의 혈청 콜레스테롤의 수준과 지방산 섭취 양상, 혈중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상관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ietary Fatty Acid Patterns, Plasma Fatty Acids, and Other Lipid Profile among Korean Adult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3.04
10P 미리보기
성인 남녀의 혈청 콜레스테롤의 수준과 지방산 섭취 양상, 혈중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상관 관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8권 / 2호 / 192 ~ 201페이지
    · 저자명 : 김정숙, 장경자, 최혜미, 서연경, 김형숙

    초록

    성인 남녀 151명을 대상으로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기준으로 정상군, 경계위험군, 고콜레스테롤혈증군으로 나눈 후, 3일간의 식이 기록법을 이용하여 개별 식이 지방산의 섭취량을 조사하고,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 신체 계측, 개별 식이 지방산의 섭취량, 혈중 지질 및 지방산 조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 중 정상군이 44명, 경계위험군이 35명, 고콜레스테롤혈증군이 72명이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이높은 군의 평균연령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높았다.
    2) BMI와 체지방은 고콜레스테롤혈증군이 정상군과 경계위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허리둘레와WHR 비율도 고콜레스테롤혈증군, 경계위험군, 정상군의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일일 지방 섭취량과 총 지방산 섭취량은 정상군(총에너지 섭취량의 20.7%)이 경계위험군(17.5%)에 비해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콜레스테롤혈증군(18.5%)에 비해다소 높았으나, 연령대별로 나누어 본 결과 세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장 섭취가 많았던 지방산은 세 군모두에서 oleic acid (총 지방산 섭취량의 33~34%)이었고, linoleic acid (27%), palmitic acid (19%), stearic acid (7%) 순으로 나타났다.
    4) 식이 지방산의 P/M/S 비는 정상군, 경계위험군, 고콜레스테롤혈증군에서 각각 1.26/1.24/1, 1.26/1.20/1, 1.37/1.20/1로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ω6/ ω3의 비는 정상군(6.8/1), 경계위험군(5.8/1), 고콜레스테롤혈증군(6.8/1)에서 권장 범위 4~10/1에 속하였다.
    5) 혈중의 총 지방산 중 linoleic acid (총 지방산의 24.0~ 26.3%)의 농도가 세 군 모두에서 가장 높았고, palmit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palmitic acid와oleic acid는 고콜레스테롤혈증군이 다른 두 군보다 높게나타났다.
    6)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혈중 중성지방(r = 0.425), LDL/HDL 콜레스테롤(r = 0.600), BMI (r = 0.435), WHR (r = 0.561)과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LDL 콜레스테롤(r = 0.870)과는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혈청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LDL 콜레스테롤의증가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Apo A-I/Apo B의 비율(r = - 0.537)은 혈청 콜레스테롤과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혈청 콜레스테롤과식이 섭취량, 혈중 지방산의 조성과는 명확한 상관관계를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콜레스테롤혈증군의 식이 지방 섭취량이 18% 수준으로 낮은 경우에 있어서는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의 차이가 식이 지방 섭취량과 혈중 지방산의 조성보다 신체 계측치와 혈중 지질의 차이에 더욱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식이 지방의 섭취 수준이 낮은 대상자들의 경우 식이 지방산 섭취량 및 혈중 지방산 조성이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식이 지방산 섭취 패턴의 조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ssess dietary fatty acid patterns an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ietary fatty acid patterns,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s, BMI (body mass index), andother lipid profile. The subjects were 151 adults aged 23 to 80 years, selected from the Outpatient Clinic and CardiovascularDepartment of the Seoul Municipal Hospital. Dietary data were obtained using three day food records. Sixteendietary fatty acids were analyzed using Korean and US nutrient databas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serumcholesterol levels: desirable (< 200 mg/dl, N = 44), borderline-risk (≥ 200 - < 240 mg/dl, N = 35), and high-risk(≥ 240 mg/dl, N = 72) groups. The high-risk group had higher BMI, waist, and waist to hip ratio (WHR) than thedesirable and borderline-risk groups.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LDL cholesterol and LDL/HDL cholesterol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as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two groups. The serum cholesterollevel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BMI (r = 0.435), triglyceride (r = 0.425) and LDL/HDL cholesterol (r = 0.870)ratio. The highest fatty acid intake was from oleic acid (33 - 34% of total fatty acid intakes), which was followed bylinoleic acid (27%), palmitic acid (19%), and stearic acid (7%).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cholesterollevels and the dietary fatty acid intakes, polyunsaturated/monounsaturated/saturated fatty acids (P/M/S) and ω6/ω3ratios. The correlation between plasma fatty acids such as myris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docosahexaenoicacid and serum cholesterol levels was also weak.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2) : 192 ~ 201, 200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