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북한산과 불교의 연고: 사찰과 산성 승군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t. Bukhan and Buddhism during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Temples and Monks’ Militia on the Mountai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조선시대 북한산과 불교의 연고: 사찰과 산성 승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7권 / 2호 / 47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용태

    초록

    한강 북쪽의 서울을 감싸고 있는 북한산은 삼국시대부터 불교와 연고를 가졌고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는 유명 사찰이 들어서며 불교 신앙과 문화의 거점이 되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대에 한강 유역의 북한산과 불교의 만남, 통일신라시대 북한산의 상황을 소개했고 고려시대 남경의 주산인 북한산의 주요 사찰과 국왕과의 관계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또 조선 전기에는 수륙재로 이름난 진관사(津寬寺)를 비롯해 북한산의 몇몇 사찰이 왕실불교의 요람으로 기능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사찰과 승군을 매개로 하여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 북한산과 불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때에 충의를 앞세운 승군 활동으로 공적을 세운 불교계는 새로운 존립의 길을 모색해 나갔다. 국가에서는 승려 자격과 사찰의 존재를 인정하는 대신 승군과 승역을 국역 체계 안에서 제도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17 세기 전반 남한산성에서 출발한 의승군 운용은 1711년 북한산성이 축성되고 승영 사찰들이 건립되면서 제도적으로 확립되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승군과 승역의 제도화 과정에서 서울을 방어하는 북한산성 승군의 운용 양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초대 8도 도총섭 계파 성능(桂坡聖能)의 활동과 업적을 추적해 보았다. 그리고 승군제의 변천과 북한산 불교의 변화상을 검토했다. 이처럼 사찰과 승군을 매개로 하여 조선시대 북한산과 불교의 관계를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서울의 대표적 명산에 담긴 불교 전통의 가치,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영어초록

    Relationship between Mt. Bukhan and Buddhism during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Temples and Monks’ Militia on the Mountain Kim, Yongtae Mount Bukhan (北漢山) surrounds the northern part of Seoul divided by the Han River. The mountain came to be related to Buddhism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Mt. Bukhan served as the foothold of Buddhist faith and culture in the subsequent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as temples began to be founded the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that the major temples on Mt. Bukhan had with the king as it became one of the prominent mountains of the southern capital of Goryeo. The study also confirms that some temples on Mt.
    Bukhan, including Jin’gwansa (津寬寺), well-known for suryukche (water-land ritual 水陸齋), functioned as a cradle for royal-family Buddhism during Joseon. Above all,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t. Bukhan and Buddhism, focusing on the major temples on the mountain.
    After the militia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the Buddhist community needed to find a new way of survival. The state decided to use the monks within the state system of the military and corvee (i.e., unpaid) labor duty while legally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monks and temples. The military duty on the Buddhist community began for the defense of Mt. Namhan fortress in the early 17th century.
    This was expanded as Mt. Bukhan fortress was constructed in 1711 and fortress temples built.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monks’ militia on Mt. Bukhan that would defend Seoul in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the monk state duty, as well as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Gyepa Seongneung (桂坡聖能), the first supreme militia commander of the eight provinces (paldo dochongseop).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Mt. Bukhan area with Buddhism diachronically, this research reflects on the traditional Buddhist cultural value and historical meaning of Mt. Buk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