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산 지역 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변천(1882∼1945) (The Way Japanese Society Was Formed and Changed in Yongsan(龍山)(1882∼1945))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2
35P 미리보기
용산 지역 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변천(1882∼1945)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8호 / 263 ~ 297페이지
    · 저자명 : 박준형

    초록

    이 글은 해방 이전 용산 지역 일본인 사회의 형성 및 변천의 과정을 군・관・민의 사회라는 규정 위에 공간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용산 지역 일본인 사회의 단초가 마련된 것은 1882년이다. 이 해에 체결된 朝日修好條規續約에서는 양화진을 개시장으로 개방할 것을 명시한 바 있는데, 후에 조선과 각국 사이에서 양화진 대신 용산을 개시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진 까닭이다. 그러나 개시구역 설정과 같은 후속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개시장 용산의 공간적 성격은 애매한 상태로 남게 되었다. 그럼에도 현재의 원효로 일대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불법적인 거주는 시작되었고, 조선정부의 이의제기가 없음을 이유로 그것은 ‘묵허’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러일전쟁 발발 이후에는 일본군의 한반도 영구주둔을 획책한 일본정부에 의해 용산일대에서 대규모 토지수용이 이루어졌다. 이곳에는 군사기지를 비롯하여 철도 관련 시설들과 일본인 상가 등이 들어섰는데, 이를 통해 형성된 시가지를 ‘신용산’이라고 부름에 따라 기존의 시가지는 ‘구용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구용산과 신용산 모두 일본에 의한 식민지적 공간 재편의 결과라 고 말할 수 있으나, 양자 사이에는 간과하기 어려운 차이들도 존재했다. 개시장에 기원을 둔 구용산 지역에서는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다양한 수준의 잡거가 이루어졌다. 반면 신용산 지역은 조선인의 강제 이주를 동반한 대규모 토지수용을 통해 건설되었던 만큼 거의 완전한 일본인 사회를 형성하였다. 그렇지만 구용산 지역의 잡거가 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이웃함을 의미했던 것도 아니고, 신용산 지역의 분거가 일본인 사회 내의 균질성을 보장해 주지도 않았다. 차별과 피차별의 끝없는 연쇄만이 공간의 경계를 넘어 작동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Japanese society was formed and changed in Yongsan before 1945, resulting in a society composed of an army,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Japanese society began to form in Yongsan in 1882. The treaty made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year designated Yanghwajin(楊花津) as an open city(開市場). Afterward, the place of open city was changed from Yanghwajin to Yongsan as a result of an agreement made in 1884 between Korea and several countries, including Japan. Despite the fact that the follow-up measures necessary to make Yongsan an open city were not taken, Japanese people had already begun to settle down there illegall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protest this, which the Japanese viewed as implied consent. Furthermore, the Japanese government expropriated a vast amount of land in Yongsan to build a permanent military base for the Japanese government constructed railway facilities and established a Japanese commercial area. This entire area that was expropriated by the Japanese was given the name “New Yongsan”, and the area that was originally declared an open city came to be called “Old Yongsan”.
    Both New Yongsan and Old Yongsan were the result of spatial reorganizatio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m,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case of Old Yongsan. which originated as an open city, the population was a mix of Koreans and Japanese. In contrast, New Yongsan,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land expropriation, was comprised of only Japanese people. However, the fact that a mixed population resided in Old Yongsan did not mean that Koreans and Japanese lived next to each other, and the fact that only Japanese people settled in New Yongsan did not mean that there was homogeneity, without any discrimination, in New Yongsan. Regardless of the different circumstances, discrimination between people always seemed to arise in any colonial society beyond space and ethn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