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나리’와 ‘ᄆᆡ나리’, ‘山遊歌’와 ‘山有花歌’의 交涉에 관한 一考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Menari( 메나리 )’ and ‘Maenari( ᄆᆡ나리 )’, ‘Sanyu-Ga( 山遊歌 )’ and ‘Sanyuhwa-Ga( 山有花歌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메나리’와 ‘ᄆᆡ나리’, ‘山遊歌’와 ‘山有花歌’의 交涉에 관한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44호 / 231 ~ 258페이지
    · 저자명 : 김권동

    초록

    메나리는 주로 그 기능면에서 모내기 노래를 비롯한 나무꾼 노래, 그리고 나물 캐는 노래 등 농업노동요이다. 이것은 산에서뿐만 아니라 들에서도 부를 수 있는 노래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 어원적 측면에서 옛말사전을 참고하여 산과 들에서 부를 수 있는 노래가 ‘메나리’였다는 것을 고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山遊歌’와 ‘山有花歌’ 사이의 영향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게 될 것이다.
    ‘山有花歌’의 정서는 대체로 ‘탄식과 슬픔’이 주를 이루는 가락이다. 여기에는 먼저 백제 패망과 관련한 망국의 한이나 무상감을 담은 노랫말이 변형되어 전승되었다. 아울러 香娘의 사건과 관련한 내용으로, 그녀가 죽기 직전에 불렀고 나무하는 소녀에게 가르쳐 준 노래가 있다. 이밖에 모내기나 김매기 또는 나무꾼이 나무할 때나 나물을 캘 때 부르는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는 노래가 있다.
    이처럼 ‘山有花歌’에는 인생무상을 노래하거나 세상과의 괴리감, 또는 일만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을 바탕으로, 부모에게 돌아가고자 하는 욕구 등이 있다. 이것은 ‘山有花歌’가 특정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서에서 출발하여 민요로 전승되는 과정에서 보편적 정서로 변모하였고, 농가에서 부르는 노동요로 확산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산에서뿐만 아니라 들에서도 불렀고 노동하는 현장에서 부르는 노래가 된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Menari( 메나리 ), in terms of function, is an agricultural work song, for example, a song of woodcutting, rice-planting, or gathering wild herbs. Maenari( ᄆᆡ나리 ) is a song that can be sung not only in the mountains but also in the fields.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plores its etymological aspects based on the old dictionary and confirms that the song is ‘Menari( 메나리 )’ can be sung in the mountain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anyu-Ga( 山遊歌 )’ and ‘Sanyuhwa-Ga’( 山有花歌 ). The sentiment of ‘Sanyuhwa-Ga( 山有花歌 )’ mostly includes sighs and sorrow. First of all, the song lyrics containing the resentment and emptiness over the country’s ruination related to Baekje’s collapse were transmitted and handed down. There is also a song about the incident of Hyangrang( 香娘 ), in which a virtuous woman who died in a river due to failing to endure her husband’s abuse, which was sung right before her death and was taught to a girl who gathered firewood. In addition, the lyrics includes the character of laboring, for example, when planting rice or picking weeds, or when gathering trees or picking herbs. In this way, ‘Sanyuhwa-Ga’( 山有花歌 ) is based on the uncertainty of life, a discrepancy with the world, the lament of people’s own misfortune. There is the desire to return to the parents based on the lament for a lifetime sacrifice of working. This indicates that ‘Sanyuhwa-Ga( 山有花歌 )’ arose from the emotion based on the specific experience, transformed into a universal emotion in the process of being handed down as a folk song, and spread as a labor song sung by farmers. The study concludes that in this way the song lyrics came to be sung in the workplace as well as the mountai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