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5
29P 미리보기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74권 / 2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김서현, 이미진

    초록

    불안정성이 증가한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이 크게 확대했다.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맞물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직무경험을 젠더적 시각에서 이해할 필요성 역시 대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토대를 두어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에 관해 질적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 5명이다. 1인당 4~5회기의 심층면담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발견했다. 이는 “사회의 틀 맞춰 갖추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라는 옷”, “여성으로 감당하기 당혹스러워도 의연하게 클라이언트 응대하기”, “성별로 나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지위의 경계”, “여성으로서의 사생활과 정신건강 직무의 뒤엉킴”, “걸림돌 딛고 일궈내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성장”과 같았다. 대주제는 “여성 역할 물결 따르며 전문직 사명의 파고 높이기”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를 위한 전문성 향상 방안을 포함하여 성인지적 직무상황 개선과 직장 내 양성평등 확산 등에 관해 제언했다.

    영어초록

    As mental health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is increasing,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s also expanded greatly. Moreover,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the need to examin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rom a gender perspective is on the rise. Base on this trend,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to five in-depth interviews per person and analyzed using Giorgi's (1985)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five essential themes: “the facade of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hich is expected to suit the expectations of the society,” “being responsive to the clients without a trouble even if it's embarrassing to handle as a woman,” “boundari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are divided by gender,” “tangle of the women's privacy and mental health related jobs,” and “growth as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have overcome obstacles.” The main theme was “following the flow of women’s roles and heightening the professional mi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gender sensitive job situations and the expans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including the plans to improve professionalism for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