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초기 매체의 세계 인식과 문학사 (The perception of the world in media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and Joseon Literature Histo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12
24P 미리보기
근대 초기 매체의 세계 인식과 문학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3호 / 75 ~ 98페이지
    · 저자명 : 박승희

    초록

    본 논문은 근대 초기 매체에 나타난 세계인식을 살핀 것이다. 세계인식이란 ‘보편성의 독자적 구현’이라는 당대 지식 이념의 보편적 측면을 의미한다. 근대 초기, 서구 문명에 대한 열정은 1910년 국권 상실 이후 큰 변화를 보인다. 즉 민족과 문명이란 표상을 동시에 추구한 근대 지식인들의 서술적 욕망, 즉 민족의 부국강병과 문명 제국(諸國)으로의 편입이 실질적으로 봉쇄된 이후, 지금까지 당대 지식과 이념을 규정하던 서구 문명이 그 보편성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1914년에 발발하여 1918년까지 이어진 제1차 세계대전은 서구 문명의 허상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인류’라는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세계 보편의 인식을 등장시켰으며 조선은 세계사의 일원으로서 그 세계사적 가치를 당대 지식의 이념으로 받아들인다. 이러한 이념은 당대의 매체를 통해 주로 표현된 바 있다. 최남선의 『소년』과 『청춘』, 일본 유학생의 대표적인 매체였던 『학지광』 등은 세계 보편적 이념과 인류적 가치를 전파하고 생산하는 주요 매체였다. 또한 안확의 『조선문학사』와 같은 국학 저서에서도 세계 보편적 이념과 그 가치는 확인된다. 이는 국문학사의 보편적 상승이라는 열망을 내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the perception of the world shown in media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The perception of the world means a universal aspect of the ideology of knowledge back then, namely, ‘the independent realization of universality’.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the passion for Western civilization showed a substantial change after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in 1910. In other words, after the descriptive desires of modern intellectuals, who pursued the symbols of nation and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which were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s well as the inclusion into civilized countries, were practically blocked, Western civilization that had defined knowledge and ideology of that time and up to now, began losing the meaning of its universality. Also, World War I, which broke out in 1914 and lasted to 1918, more clearly demonstrated the false image of Western civilization.
    Such a change attracted the appearance of the perception of a worldwide universality, based on the community sentiment of ‘human beings’, and Joseon accepted the world historic value as the ideology of knowledge of the time as a member of world history. Such an ideology was mainly expressed via the media of the period. Media, including Choi Nam Seon’s 『Boy』 and 『Youth』, and 『Hakjigwang』, a representative medium of students studying in Japan, were major vehicles to spread and produce the worldwide universal ideology and the value of human beings. Also, books for Korean literature studies such as Ahn Hwak’s 『Joseon Literature History』, established the worldwide universal ideology and its value. This may be the harboring of a desire for a universal uprising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