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正喜의 <小遊仙詞> 고찰 (Chusa Kim Jeong-hee's “Soyuseon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10
23P 미리보기
金正喜의 &lt;小遊仙詞&gt;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31호 / 239 ~ 261페이지
    · 저자명 : 정숙인

    초록

    유선시는 도교 생활을 반영하고 신선의 세상을 표현하거나 신선의 뜻을 빌려 범속한 정감을 초탈하려는 문학으로, 조선전기부터 중기까지 활발하게 창작된 분야이다. 그러나 조선후기로 접어들면서 유선시는 정형화된 틀과 고착화된 소재로 인해 더 이상 활발한 창작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조선후기 도가사상은 연암 박지원이 <김신선전>에서 지적하다시피 세상에 뜻을 펴지 못한 자가 신선이라고 할 만큼 허황되거나 기복신앙적 차원에서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시대 상황 하에서 실사구시의 학문자세를 평생토록 유지했던 김정희가 남긴 <소유선사>를 통해 단편적이지만 전통적 유선시와는 다른 조선후기 유선문학의 한 단면을 살펴보았다. 조선중기 전통적 유선시는 시대와 불화했던 지식인들의 좌절과 갈등을 신선세계에 대한 동경이나 신비한 仙遊로 그려냈으나 김정희의 유선시는 사뭇 다르다. 형식적 측면이나 시의 제재적 측면에서는 전통적 유선시를 계승하고 있으나 내용적 측면에서는 김정희만의 유선시가 그려지고 있다. 조선중기의 유선시에서 보이는 초월선계나 지상선계가 아닌 그의 냉철한 현실 인식에 바탕을 둔 인간적이고 현세적인 유선시를 그려내고 있다. 그가 지금 머무는 유배지, 닫힌 공간이 바로 선계이며 이것은 마음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피력하고 있다. 그의 유선시는 전통적 유선시 형식을 계승하여 독자적인 자신의 정신세계를 구축한 새로운 경지를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As a person of noble family, Chusa Kim Jeong-hee exerted his outstanding talents of liberal arts even when he was young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He played a role as bridge in cultural exchanges of Joseon's literati with Ching's ones. Moreover, he was well recognized as a prominent guru of domestic art worl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he got unfortunately involved in his contemporary intense party squabbles, ending up in exile to Jeju Island at his age of 55 till he came back home after his life in 9-year exile. Such a 9-year life in exile was so cruel to him that he almost forgot even his arrogantly intelligent personality with a great pride. It is “Soyuseonsa” that was a fictional work written by Chusa in his life of exile in Jeju Island.
    Fairyland poetry was a literary category that demonstrates a world of literary works considered as yearning for hermit or evasion from reality. Fairyland poems were actively authored by many literati from early period to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fairyland poetry did not develop any further with less writings due to its stereotyped framework and fixed material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aoistic thoughts populariz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managed to maintain their slender existence as such a wild or fortune-oriented faith that hermit was popularly considered as any person who failed to achieve something meaningful in the world, as pointed out by Yeonam Park Ji-won in his novel titled “Kim Sinseonjeon.”Even in this historical settings, Chusa tried to keep an academic mindset based on scientific and empirical methodology throughout all his lifetime, and “Soyuseonsa” demonstrates even a fragment of his academic approaches based on bibliographical studies. Traditional fairyland poetry popularized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used a yearning for fairyland or a mystery of fairyland pleasure like hermit to metaphorically depict the frustration and conflicts of intelligent people who were in discord with their contemporary age. However, Chusa's fairyland poetry was quite different from his preceding one: Indeed, his fairyland is neither a world depicted as world-incompatible refuge for the frustrated any longer, nor a yearning for fairyland of hermits. Rather, his fairyland poetry was thoroughly characterized by human-oriented and worldly poems. But he emphasizes that the very land of his life in exile - as a closed space - is a fairyland and such an acceptance comes from his heart. His fairyland poetry succeeded to traditional forms of fairyland poetry, but revealed a new sphere of his established and independent spiritu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