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개신교 건축사의 신학적 비평 (A Theological Criticism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6
29P 미리보기
한국개신교 건축사의 신학적 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학과 선교 / 28호 / 165 ~ 193페이지
    · 저자명 : 박종현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 교회 건축사에 대한 신학적 비평의 시도이다. 기존의 개신교 교회 건축사는 건축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과거 건축학적 연구 성과를 개신교 역사의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신학적 논평을 통해 한국 개신교회 건축의 진일보된 건축담론에 참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기존의 건축학 연구들은 한국근대사의 건축사적 변화를 기준으로시대 구분을 하였다. 그 시대구분은 일반적으로 다섯 시기로 한국 개신교교회 건축사를 나누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 기독교 건축사를 네 시기로 구분하여 서술한다. 1. 개신교 선교 이전 천주교회 건축 2. 선교 초기부터 한일합방까지 3. 한일합방 이후 일제 강점기 4. 해방 이후 현재까지로 구분하여서술한다.
    그리고 기존의 건축학 논문과 달리 각 시대의 교회 건축에 대한 건축학적연구 성과에 교회사적 관점에서 신학적 비평을 시도하였다. 초기 천주교회건축과 개신교회 건축은 어떤 신학적 동기보다는 한국에 존재하는 전통적건축을 교회 건축으로 차용하는 형태였다. 자연스런 신학적 토착화의 시기였다. 일제 강점기는 서구식 건축의 도입기로 감리교회는 전형적인 서구형건축을 시도하였고 장로교회는 한국의 토착적 건축양식을 교회 건축에 도입하였다. 해방 후에 한국교회는 다양한 교회 건축을 시도하게 된다. 가장큰 변화는 1970년대 이후 교회 건축에 모더니즘이 도입되어 다양한 교회건축이 시도되었다.
    개신교회 교회 건축은 가톨릭교회와 성공회교회 건축이 전례의 공간으로서 가지는 규칙과는 달리 설교를 위한 강당이 그 교회 건축의 중심 개념이다. 그러나 한국개신교회 건축은 교회가 수용한 전통적 위계적 사회질서, 성적 이데올로기, 성장위주의 교회 개념을 반영하여 문제점을 남겼다.
    미래의 한국 개신교회 건축에는 성차별의 해소, 평등한 공동체 그리고구성원의 소통과 지역사회와 교회의 소통이 강조되는 공간으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theological criticism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Previously, studies in this field were carried out by scholars of architecture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reliable discourse o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vi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r criticism.
    In former researches,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yle of architecture.
    Former researches divided the era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history into five sections. This article will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1. before 1884: the era before the beginning of the Protestant mission, 2. 1884-1910: the era encompassing the beginning of the Protestant mission to the merge of Korea and Japan, 3. 1910-1945: the Japanese colonial era, 4.after 1945: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time.
    The early Korean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accepted the Korean traditional building ‘Hanok’ as a church without any modifications. It was an era of natural indigenization of Korean church architec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dopted western style architecture. The Korean Methodist church tried to build a typical western style church building wherea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ried to build an indigenized church building according to the Korean tradition.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from Japan in the year of 1945,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ried to build various types of modern architecture. As Korea accepted modernism, its influence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church architecture.
    In general, Catholic and Anglican chapels are built for rituals, whereas the Protestant chapels are built for sermons. This expl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reflects some historical problems: divisions among traditional social orders of class , conflicts between genders, conflicts of ideologies and differences of views on the idea of church growth.
    The Korean church has the social task to suggest a solution to sexual discrimination, social inequality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in the local society and it’s ministry. These needs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in church architecture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학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