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瑞山 普願寺 鐵造如來坐像 考察 (A Study on the Iron Seated Buddha at Bowonsa Temple in Seo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瑞山 普願寺 鐵造如來坐像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100호 / 22 ~ 49페이지
    · 저자명 : 강건우

    초록

    普願寺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북쪽에 위치한 사찰로, 경내에는 나말여초에 조성된 문화재가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충청남도의 고적 조사를 계획했고, 1916년(대정 5) 보원사지에 가서 현지 조사를 진행했다. 현지 조사 과정에서 小屋에 안치된 철조여래좌상(무릎너비 7척, 두께 5척 5촌)을 확인했고, 이듬해에 경복궁으로 해당 철조여래좌상을 이운했다. 이는 일제강점기 보원사지에 2m가 넘는 대형 철조여래좌상 1구만이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철조여래좌상은 法印國師 坦文(900~975)이 955년에 조성하였을 것이다. 탄문은 광주 고봉의 유력가문 출신으로 태조의 보살핌 속에 화엄종의 중심인물로 성장했고, 연이어 惠宗(재위기간943~945)과 定宗(재위 945~949)대에도 왕실의 불교행사를 주관했다. 이후 탄문은 大穆王后 皇甫 氏(?~?)의 후원을 받은 均如(923~973)의 등장으로 개경에서 떨어진 보원사로 이주하게 되었지만, 그곳에서 충주 유씨의 후원을 받아 지지 세력의 결속을 다지고 한편으로는 光宗(재위 949~975)의만수무강을 기원하기 위해 대형의 철조여래좌상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탄문의 비문에 나오는 ‘鑄 金像之三尊’도 보원사에서 철조여래좌상이 주조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이다.
    철조여래좌상의 原 봉안처는 보원사지 내 ‘건물지3’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 결과 현재의 금당지는 조선시대에 세워진 건물지로 드러났기 때문에, 철조여래좌상은 조성 당시 다른 장소에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건물지3은 다른 건물지에 비해 고려시대 기와와 자기의 출토 빈도가 높고, 무엇보다도 정방형에 가까운 불단 유구가 남아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추정이 가능하다. 철조여래좌상은조성 당시 고려시대 전각인 건물지3에 봉안되었다가 조선시대 중창불사를 통해 지금의 금당지로 이운되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Bowonsa Temple (普願寺) is located to the north of Gayasan Mountain in Unsan-myeon, Seosan-si,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cultural properties it enshrines were produc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s, and include an Iron Seated Buddh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useum planned a survey on historical remain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and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owonsa Temple site in 1916 (Taishō 5). During this survey, the sculpture of the Iron Seated Buddha (knee: width 212 cm x thickness 167 cm) was found enshrined in a hut. The sculpture was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the following year.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colossal Iron Seated Buddha was being housed at the Bowonsa Temple site at the star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Iron Seated Buddha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955 by State Preceptor Beopin Tanmun (法印國師 坦文, 900–975). Tanmun was born into an influential family that produced many high officials. He became a leading figure in the Hwaeom (Flower Garland) school of Buddhism under the patronage of King Taejo. He also led Buddhist events at the Goryeo royal court during the reigns of King Hyejong (惠宗, r. 943–945) and King Jeongjong (定宗, r. 945–949). With the emergence of Gyunyeo (均如, 923–973), who was sponsored by Queen Daemok (大穆王后, dates unknown) of the Hwangbo clan (皇甫氏), Tanmun was transferred to Bowonsa Temple far from Kaesong. However, even while there Tanmun strengthened his ties with his supporters under the patronage of the Chungju Yu clan. He appears to have produced this colossal sculpture of Iron Seated Buddha as a prayer for longevity and a happy life for King Gwangjong (光宗, r. 949–975).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State Preceptor Beopin at Bowonsa Temple Site that reads “[I] created a Buddha triad in gold” also suggests the Iron Seated Buddha was produced at Bowonsa Temple.
    This Iron Seated Buddha is thought to have been enshrined originally in a hall at Building Site No. 3 within the Bowonsa Temple precinct. Since excavations at the temple site have revealed that the temple’s main hall was erected in the Joseon period, the Iron Seated Buddha might have been enshrined in a different hall at the time of its creation. It is likely that the sculpture was placed in a hall at Building Site No. 3 since Goryeo-era roof tiles and porcelain have been frequently excavated there and the remains of a square Buddhist altar have survived at the site. At the time of its creation, the Iron Seated Buddha was likely enshrined in a Goryeo-era hall at Building Site No. 3 but was transferred to the main hall during a rebuilding project undertaken at Bowonsa Temple in th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