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연구 (A Study on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Daejosa Temple, Buye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5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황이연

    초록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인근지역의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더불어 고려시대의 거석불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불상이다. 본고는 일련의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내용에 더해 양식과 도상을 면밀히 분석하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제작시기와 제작배경, 상이 지니는 의의 등을 밝혀 보고자 한다.
    현존하는 문헌자료만으로는 대조사 상의 조성 경위나 시기 규명은 불가능하다. 다만 기록과 각종 조사 결과 등을 참고해 보면, 대조사 상은 사찰의 창건과 동시에 조성되기보다는 후대에 추가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고려 원종대인 13세기 후반에 무량사의 승려 진전장로에 의해 중수된 것으로 전해진다. 현존하는 불안은 13세기 말에서 15세기 초반 사이의 시기에 감입된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에 철제 장식물에 대한 중수 작업 또한 이루어진 듯하다. 그러나 18세기 중반을 전후로 사세가 급격히 기운 듯하며, 일제강점기 부여 지역 부흥의 일환으로 현재와 같은 규모로 중수된 것으로 보인다.
    대조사 상은 관촉사 상과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지역양식의 상 정도로만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거대한 크기, 통형보관과 이중보개 및 대의의 착용이라는 특징 등 두 상은 상당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조사 상과 관촉사 상 사이의 양식적 차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논의된 바가 없다. 어깨 위에 드리워진 보발, 화려한 영락, 보관에 가로로 꽂힌 簪, 변형편단우견식의 대의 등 대조사 상에는 관촉사 상에서 찾아볼 수 없는 세부적인 표현이 적지 않게 나타나며, 이는 북송‧요 및 고려 후기의 불교미술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기도 하다. 이렇듯 대조사 상은 다양한 시기와 지역에 나타나는 서로 다른 양식적 특징을 선택하고 조합한 결과물이다.
    대조사 상과 관촉사 상은 양식보다는 도상을 공유하는 관계이다. 관촉사 상의 도상은 『불설미륵대성불경』에 전하는 ‘석가모니의 대의를 전달받는 미륵’의 모습을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데, 대조사 상 역시 『성불경』에 언급된 미륵의 신체 비율과 같은 수치로 제작되어 경전을 기반으로 세워진 상임을 알 수 있다. 법상종이 고려 사상계에서 주요 교단으로 급성장하고, 야외에서 미륵신앙 관련 법회가 여러 차례 진설되면서 거대 미륵존상에 대한 수요가 관촉사의 인근에 또 다른 미륵보살입상 조성으로 이어진 것이다.
    결과적으로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에 걸쳐 조성된 관촉사상에 비해, 대조사상은 요와의 불교 교류가 활성화되는 11세기 후반 이후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비롯하여 고려 후기 불·보살상에 변형편단우견식의 대의가 대표적인 양식으로 자리잡는 것을 볼 때, 대조사상에 고려 후기 불교조각의 시원적 양식이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Stone Standing Bodhisattva Maitreya of Daejosa Temple, Buyeo is a symbolic Buddhiststatue representing the gigantic stone images of Goryeo Dynasty(918-1392), along with theneighbouring Stone Standing Bodhisattva Maitrey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In addition tothe newly discovered contents through a series of survey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formsand images closely and to clarify the time, the backgroun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aejosaTemple image.
    It is impossible to trace the history of the Daejosa Temple image and the period of its erectionbased on existing written sources alone. However,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Daejosa Templeimage was built later than at the same time as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The statue is said tobe renov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3th century, by a monk of Muryangsa Temple called JinjeonJangno. The existing Buddhist eyes appear to have been inserted in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13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5th century, and the repair work of iron ornaments isthought to be done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situation of the temple seems to berapidly fallen around the mid-18th century, before being renovated to the present scale in theJapanese occupation period as part of the revival of Buyeo area.
    The Daejosa Temple image is often referred to only as a statue of the local style established inthe same period as the Gwanchoksa Temple image. It is true that the two statues have a significantsimilarity: the huge size, the cylindrical Bodhisattva crown, the double-layered chattra and the wearingof samghati. However, there is no detailed discussion of the stylistic difference between the DaejosaTemple image and the Gwanchoksa Temple image. The detailed expressions of the former, such asthe hair flowing down on the shoulders, the elaborate ornaments on the chest, the pins attached tothe Bodhisattva crown, and the samghati variation that covers left shoulder, do not appear in thelatter. All these distinctions can be seen in the Buddhist art of Northern Song, Liao, and LateGoryeo. Thus, the Daejosa Temple image is the result of selecting and combining different stylisticfeatures in various periods and regions.
    The Daejosa Temple image and the Gwanchoksa Temple image share a common iconographyrather than a style. The iconography of the Gwanchoksa Temple image seems to the visualization ofMaitreya receiving the samghati of the Buddha, which is depicted in Foshuo mile dachengfo jing(hereafter the Chengfo jing ). Meanwhile, the Daejosa Temple image is produced upon the same body ratio of the Maitreya, which is mentioned in the Chengfo jing ; it can be said that the statueis also built referring to the sutra.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Beopsang order as a majordenomination in Goryeo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outdoor Buddhist memorials relatedto the Maitreya, the demand for the gigantic Maitreya statue was brought to the formation ofanother Maitreya Bodhisattva in the vicinity of Gwanchoksa Temple.
    As a result, the Daejosa Temple image seems to have been created after the late 11th centurywhen Buddhist interchange with Liao dynasty is activated, compared to the Gwanchoksa Templeimage created from the end of the 10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1th century. The DaejosaTemple image shows the primitive form of the Buddhist sculpture appearing in the Late GoryeoBuddhist statue. It has been proven as the samghati variation that covers left shoulder became thetypical style of the late Goryeo Buddhist statue, including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Avalokitesvara of Bhagwangsa Temple, An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