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탑 선관의 연원과 전개사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Visualization Practice on Buddha Stup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09
24P 미리보기
불탑 선관의 연원과 전개사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1호 / 363 ~ 386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호

    초록

    인도불교의 선정은 사념처를 비롯해 다양한 수행이 초기불교부터 존재했으며 부파불교시대에 37조도품 등으로 체계화된 후 대승불교시대에 유가행으로 탈바꿈하면서 더욱 발전하였다. 선정의 수행은 무아, 고, 공 등의 진리를 관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지관수행으로 체계화되면서 세밀히 연구된다. 선정을 통해 진리의 세계를 보려는 노력을 선관(禪觀)이라 말할 수 있으며, 초기의 선관은 수식관, 사념처관 등의 형태를 지녔지만 대승불교시대에는 그 유형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소재를 대상으로 관상수행에 응용하였고 그 기원이 가장 오랜 것은 불탑을 관하는 수행이었다. 불탑을 응시하는 선관이 대승불교시대를 거쳐 정형화된 수행으로 정립된 것은 밀교시대이다. 초기 불탑신앙의 사례를 보여주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불탑을 조성하는 의궤가 설해지는 가운데 탑 내부에 정각자의 일체지를 상징하는 77기의 소탑을 안치함으로써 불탑을 정각자와 동일시하는 의미를 형식화하였다. 『대일경』에 설해지는 오자엄신관(五字嚴身觀)은 우주법계를 상징하는 불탑을 수행자와 동일시하는 밀교의 독특한 실천수행을 담고 있지만, 선정을 통해 육신을 장엄된 불탑이라는 자각을 시도하는 것이어서 초기불교의 불탑관상 수행의 연원에서 유래한 것임을 보여준다. 불탑의 관상은 불탑을 매개체로 삼아 우주와 내가 하나라는 사실과 연기적 우주를 깨닫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 선관의 다양한 유형 가운데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선관은 불탑을 마주하여 붓다의 정각과 중생구제의 자비를 되새기는 의미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점차 불탑에 담긴 불탑의 정신을 수행의 지향점으로 삼기 시작하여 대승불교 시대에는 불탑관상의 독특한 수행체계의 일단을 마련하였다.

    영어초록

    The dhyana in Buddhist practice was an important expedient for Sakyamuni Buddha to reach the enlightenment and was taught to disciples of Buddhist order. After nirvana of master, Sakyamuni Buddha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stupa was executed and pervaded to Indian Buddhism which was a center for Buddhist lay believer who admired Buddha's realization and mercies. After some hundred years Buddhist stupas have changed its characteristics that the stupa was regarded as a Buddha's body. Along with the advent of the Dharama-kaya thought of Buddha the Buddhist stupa was regarded as marks of Buddha's realization and body which shows the oneness and eternity of truth of Dharma realm that is presented in the early scriptures of Agama.
    The Ornament sutra[華嚴經] have succeeded the thought and view of Sectarial Buddhist order which the master, Vairocana Buddha preaches the supreme knowledge[一切智智] and shows his emanation of his body and finally succeeded again to th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密敎]. The formation of Esoteric Buddhism firstly begun by the adoption of religious elements from ancient religion of India but among those elements Mantra and Dharani which contains lots of efficient expedient and tools to help the Dhyana and Samadhi for the practitioner regardless of the religious background of Brahman or Iśvara of Hindu gods.
    The Dharani Tantra of Clear light[無垢淨光大陀羅尼經] in the age of Esoteric Buddhism reflects the belief of Buddhist stupa in early age sectarial Buddhism but enclosing 77 or 99 small stupa in the main body of Buddhist stupa reflect the supreme knowledge of Vairocana Buddha and the Visualization of Ornament by Five Bijja[五字嚴身觀] is a decisive proof that the Buddhist practice of stupa have came from belief of Buddhist of sectarial Buddhist of early age of Buddhism.
    The translation of Vairocana sutra[大日經] provided the motivation of integration between Ornament Study and Esoteric Buddhism in both of Chna and Silla Buddhism that many stupa was constructed in the northeast asia of Mahayana Buddhist region reflecting both religious belief on Buddhist stupa and visualization practice of Vairocana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