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楮子島의 문화사 (A Cultural History about JeoJa-Island during Late Choson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11
3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楮子島의 문화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30호 / 229 ~ 264페이지
    · 저자명 : 이종묵

    초록

    楮子島는 고려 말 韓宗愈의 별서가 있어 故事가 되었고 조선 초기 貞懿公主가 세종으로부터 하사받아 부마 安孟聃의 소유가 되면서 그림으로도 그려졌다. 이후 많은 문인들이 이곳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한 바 있거니와 16세기 후반 崔慶昌, 白光勳 등 최고의 시인들이 이웃한 奉恩寺를 오가면서 수많은 시를 지은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17세기를 전후한 시기 具容과 許淮 등의 별서가 있어 李安訥, 權韠 등 한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이 노닐었고, 이를 이어 金昌翕과 許格 등이 별서를 두면서 저자도는 한강의 가장 이름난 명소가 되었다.
    그런데 우리 문화사에서 이렇게 중요한 공간인 저자도의 위치를 두고, 여러 연구서와 사전 등에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 생성된 모래톱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저자도는 오늘날 삼성동에 있었고 그곳에 舞童巖이라는 바위가 있어 17세기 무렵까지는 舞童島라고도 불렸다. 18세기 무렵 저자도는 무동도와 분리되어 인식되었으며 이때의 무동도는 잠실섬의 일부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그러다가 19세기 후반 무렵 저자도가 뚝섬 앞쪽의 섬으로 기록된 지도가 나타났고 근대의 기억 역시 대부분 그러하다. 또 20세기 초반의 지도에는 무동도가 삼성동에 있던 원래의 저자도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영어초록

    JeoJaDo (JeoJa-Island) is known for some songs or poems written by literatis. Besides, it is famous that best poets including Choi Kyong Chang and Baek Kwang Hoon wrote plenty of poems about JeoJa-Do as they often visited BongEunsa (Bong Eun Temple) which is just near JeoJa–Do in 16th century. Especially in 17th century, poets including Koo Yong and Heo Hwae had their beautiful villas there so that lots of poets including Lee An Nool and Kwon Pil enjoyed visiting there. Later, Kim Chang Hup and Heo Gyuk had villas there and JeoJa–Do became one of the famous attraction in vicinity of HanGang (Han River).
    By the way, MoRaeTop where JungRangChon (JungRang River) and Han – Gang meet is described as the location of Jeo Ja – Do in some studies and dictionaries. Until 17th century, Jeo Ja – Do was located in Sam Sung Dong and known as Moo Dong - Do (Moo Dong – Island) since there was a rock called Moo Dong - Do (Moo Dong – Rock) according to literature written in Cho Sun dynasty. Around 18th century, people recognized Jeo Ja – Do and Moo Dong – Do as difference places, considering Mu Dong – Do as some part of Jam Sil. Then, a map that showed Jeo Ja – Do located in front of Ddook island appeared in 19th century and that was similar to how people in modern times think where Jeo Ja – Do is. In early 20th century, Mu Dong – Do referred to the area where Jeo Ja – Do in Sam Sung Dong was located in prior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