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륜사 탑돌이의 양상과 배경 (The aspects and background of Circling the pagoda of Heungnyunsa Templ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6
22P 미리보기
흥륜사 탑돌이의 양상과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6호 / 35 ~ 56페이지
    · 저자명 : 김영준

    초록

    『삼국유사』 「김현감호」에 의하면 신라 풍습에 매년 2월 8일부터 2월 15일까지 흥륜사의 탑을 도는 행사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탑돌이는 흥륜사라는 절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불교의 탑돌이 행사로 볼 수도 있다. 그런데 흥륜사에서 탑돌이가 벌어지는 시기는 불교에서는 음력 2월 8일을 부처의 출가일로 삼고 있으며 2월 15일은 열반일로 삼고 있지만 동시에 이 시기는 봄이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하고 인도와 한국 모두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흥륜사는 천경림이라는 숲에서 만들어진 신라 최초의 불교 사찰인데, 이 지역은 신라인들이 성스러운 장소로 여겼던 곳으로 보인다. 천경림이 정확히 어떤 성스러운 장소인지는 알 수 없지만, 천경(天鏡)이라는 말이 달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고 가까이에 있는 신라의 도성도 월성(月城), 반월성(半月城)이라고 하는 등을 보면 달과 관련된 성스러운 장소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달은 풍요와 관련이 있는 천체이다. 또한 프랑스 및 피그미 족과 한국의 정월 보름 풍습을 보면 모두 풍요와 관련된 의식이 있다. 이런 점들을 통해 신라에서는 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생각했음을 알 수 있고 천경림이 달과 관련이 있다면 이러한 점 때문일 것이다. 특히 신라가 농경사회인 점을 생각한다면 신라에서 달은 한 해 농사의 풍년과 관련이 있는 천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신라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고 신라인들이 성스러운 장소라고 할 수 있는 천경림에 흥륜사를 세웠지만 기존의 전통신앙을 신라인들이 완전히 버리지 못했을 것이다. 실제로 기독교가 공인된 초기 유럽국가들의 경우도 전통신앙이 한동안 기독교 신앙과 공존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신라의 전통신앙적 요소가 불교의식인 탑돌이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흥륜사에서 2월 8일부터 2월 15일에 벌어진 탑돌이는 단순한 불교행사가 아니라 신라의 전통신앙을 받아 개인의 복뿐만 아니라 풍년을 기원하는 농경의례적 성격이 일부 들어간 의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chapter 「Kim Hyeon Gamho」 in 『Samguk Yusa』, Silla custom had an annual event to tour the tower of Heungnyunsa Temple from February 8 to February 15. The pagoda circling custom took place at a temple called Heungnyunsa, so they can be seen as a typical Buddhist circling the pagoda event. However, the time when circling the pagoda takes place in Heungnyunsa Temple is the day of Buddha's marriage on the eighth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Heungnyunsa Temple was the first Buddhist temple of Silla built in a forest called Chenkyung forest. This area is seen as a sacred place by the Silla people though it is not certain that the forest is a sacred place, however, the meaning of “ChenKyung (天鏡)” often represents the moon and the nearby capital of Silla is also known as Wolseong(月城) and Banwolseong(半月城), which are related to the moon and it may seem relatable to sacred place. This moon is a celestial body that is related to affluence. Also, if you look at the customs of the French and Pygmies and the full moon of Korea, there are rituals related to affluence. These points show that Silla regarded the moon as a symbol of affluence, this may be the reason why Chenkyung forest is related to the moon. Especially considering that Silla is an agrarian society, the moon is a celestial body associated with a good harvest of farming in Silla. That's why King Beop Heung of Silla officially recognized Buddhism and founded Heungnyunsa in ChenKyung forest, a place where the Sin Lines are sacred, the new line would not have completely abandoned the existing telegraph office. In fact, it seems to be possible even in the early European countries where Christianity was accredited, because it is possible to see traditional beliefs coexist with Christianity for a whil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is traditional belief of Silla influenced the circling the pagoda, the Buddhist ritual, and turned it into a folk game to pray for a good year.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circling the pagoda, which took place on February 8th and February 15th at Heungnyunsa, was not just a Buddhist event, but a ritual of praying for a good year as well as an individual's blessing by receiving the traditional beliefs of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