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단군담론의 전승과 변용–한국 개신교선교사의 단군이해와 근대 초기 학술사의 일면– (The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Dangun Discourse in Late Chosu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4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단군담론의 전승과 변용–한국 개신교선교사의 단군이해와 근대 초기 학술사의 일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48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현

    초록

    본고의 목적은 19세기 말에서 1910년대까지 한국개신교선교사의 담군 담론을 조망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집성, 혼재되어 있던 단군에 대한 당시의 전승양상과 변용의 모습을 살피고자 했다. 한국 개신교선교사들은 『동국통감』과 『동국역대총목』으로 각기 대표되는 조선 전기와 중후기의 역사서를 통해 단군을 접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게일, 헐버트 등 한국개신교 선교사들에게 단군은 ‘개국 시조’와 ‘문화 군주’라는 두 가지 형상이 혼재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선교사들은 『삼국유사』 소재 단군신화를 가장 정통성 있는 역사 기록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그들은 어디까지나 『동국통감』을 비롯한 조선 시대 역사서를 통해 전승되던 단군 신화를 기반으로 한 구한말 역사교과서의 단군 담론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국의 역사를 살피는 학술적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선교라는 차원에서도 단군신화를 주목했다. 기독교의 삼위일체론, 유일신 관념과 성육신 예수를 한국인에게 설명하기 위해, 단군 신화는 매우 유용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1910년대 대종교가 편찬한 『신단실기』는 이러한 개신교선교사의 선교목적에 더욱 부합한 텍스트였다. 그렇지만 게일이 이러한 대종교의 사료집을 수용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른 곳에 있었다. 먼저, 『동국통감』에서 소거된 환인-환웅-단군의 계승관계를 ‘환인=환웅=단군’이라는 성삼위일체의 관계로 변모시켰다. 이를 통해 환웅의 종교적 교화라는 치적은 곧 단군의 치적이 될 수 있었다. 이는 게일에게 있어 더욱 중요한 의의를 지닌 치적이었다. 단군은 단지 고조선을 건국한 군주가 아니라, 한국 민족에게 종교를 가르쳐 준 기원이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Dangun(檀君) discourse from the late 19th century up to the 1910's. Through that, this author intends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ransmitting and transforming Dangun discourse in late Chosun when it was collected and mixedly existed.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could encounter Dangun then through the history books of early Chosun and mid- to late Chosun represented by Dongguktonggam(『東國通鑑』) and Donggukyeokdaechongmok(『東國歷代總目』) each. Based on that,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like Gale or Hulbert perceived Dangun with two mixed images, ‘the progenitor of the country’ and ‘a king of culture’. Nevertheless, the Protestant missionaries did not regard the myth of Dangun contained in Samgukyusa(『三國遺事』) as the most legitimate records of history. It was because they did share the Dangun discourse contained in the history books at the end of Chosun grounded on the myth of Dangun that had been transmitted by the history books of Chosun like Dongguktonggam.
    The Protestant missionaries did focus on the myth of Dangun not in the academic aspects of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 but in the perspective of mission work. In fact, the myth of Dangun was very useful when they tried to explain Christianity’s Trinitarianism, idea of the One and Only God, and incarnation of Jesus to Koreans. Sindansilgi(『神檀實紀』) which Daejonggyo(大倧敎) compiled in the 1910’s was the text better fitting the missionary purpose of those Protestant missionaries. But Gale adopted Daejonggyo’s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for different reasons. First of all, he transformed the successive relationship of Hwanin(桓因)-Hwanung(桓雄)-Dangun erased from Dongguktonggam into that of the Holy Trinity, ‘Hwanin=Hwanung=Dangu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turn Hwanung’s achievement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Dangun’s. This was an achievement that was even more meaningful to Gale. It was because Dangun was not merely a king who founded the country but the origin that taught religion to the people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