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신사의 사행록을 통해서 본 조선 지식인의 대마도인식과 그 추이(推移) (The Perception of Thushima Island among the Joseon Scholars through the Travel Journals of Tongsinsa and the Trend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2
33P 미리보기
통신사의 사행록을 통해서 본 조선 지식인의 대마도인식과 그 추이(推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75호 / 3 ~ 35페이지
    · 저자명 : 장순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통신사행에 참가하였던 사행원들의 사행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람들이 대마도와 대마도인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통시대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시기에 따라 변화의 추이는 없는지, 변화가 나타난다면 그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규명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조선전기 통신사행원의 대마도 인식은 대체로 대마고토의식(對馬故土意識), 대마속주의식(對馬屬州意識), 대마번병의식(對馬藩屛意識)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인들은 대마도는 영토적으로는 일본에 속하며, 대마도인을 일본 혼슈[本州] 사람들과 동일한‘왜인’으로 인식하여 혼슈인과의 사이에 어떤 민족적인 특성을 강조하거나 구분하는 인식은 없었다.
    조선후기 통신사의 사행록에서 발견되는 대마도 인식 가운데 주목할 만한 특징은 대마도를 일본의 ‘내지’, 즉, 혼슈와 구별하여 인식하였다는 점이다. 18세기 통신사행부터 구체화된 대마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조선후기 조일 양국의 교섭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물이었다. 즉, ① 사행 과정에서 통신사행원들이 대마도인과 직접 접하면서 경험한 체험, ② 임진왜란의 경험과 그것에 관한 기억, ③ 조선과 일본 양국 외교의 중간세력으로서 대마도가 취한 조선을 향한 포지션, ④ 조선후기 한일간의 최대 쟁점이었던 ‘울릉도쟁계’, ⑤ 통신사행의 성격 변화, 왜관에서 발생한 조선인과 대마도인의 빈번한 마찰, 왜관 운영에서 발생한 경제적 부담 등이 대마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고착화시킨 배경이 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iachronically discuss how the people of Joseon perceived Thushima Island and the islanders based on the travel journals of Joseon envoys, or Tongsinsa, and the trends over time with the background of any changes to the perception.
    The perception of Thushima Island of Joseon's Tongsin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into Thushima as an old territory of Joseon, Thushima as a subordinate territory of Joseon, and Thushima as security. However, the people of Joseon believed that Thushima Island is a Japanese territory and the islanders were 'Japanese' same as the people of Honshu, Japan. There was no awareness of national traits between the two.
    What is noticeable about the perception of Tongsinsa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at they separated Thushima Island from 'Honshu,' or Mainland Japan. The negative view of Thushima Island developed among Tongsinsa in the 18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the background of the negative view of Thushima Island included ① the direct experience of Tongsinsa with the islanders during the journeys, ② the experience and memory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③ the position of Thushima Island toward Joseon as the middleman of diplomacy between Joseon and Japan, ④ ‘Ulleungdo Jaenggye (鬱陵島爭界),’ which was the biggest issu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⑤ the change in the purpose of Tongsinsa, frequent conflicts between the people of Joseon and ⑥ the islanders at Japan's trading zones (Waegwan), and the financial burde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Japan's trading zo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