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남(海南) 대흥사(大興寺) 청허(淸虛) 휴정(休靜)의 부도(浮屠)와 석비(石碑)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tone Stupa and Stele of Cheongheo Hyujeong at Daeheungsa Temple in Haena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12
38P 미리보기
해남(海南) 대흥사(大興寺) 청허(淸虛) 휴정(休靜)의 부도(浮屠)와 석비(石碑)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62호 / 169 ~ 206페이지
    · 저자명 : 이수경, 임성춘, 김다빈

    초록

    이 글은 해남 대흥사의 청허 휴정대사 비를 소개하고 부도와 함께 문화재적 차원에서 검토를 중점에 두었다. 따라서 그의 비를 소개하였고, 나아가 그의 문집, 비문, 대둔사 소장 비의 금석문, 사지(寺志), 지리지를 연관지어 그의 행적과 사명(寺名), 석조문화재 지정명칭 등을 검토하였다.
    조선 전기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여지도서』에는 ‘頭輪山 大芚寺’라는 산명과 사명을 확인할 수 있었고, ‘大興寺’는 1647년 이곳에 세웠다고 전하는 ‘海南縣大興寺淸虛大師碑銘’이란 금석문과 1823년 간행된 『대둔사지』에서 각각 찾을 수 있었으므로 두륜산의 ‘輪’자와 ‘대흥사’라는 절의 명칭이 일제 강점기에 생긴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남 대흥사에는 청허 휴정 대사의 유물이 다수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국가문화재 보물과 전남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전시되고 있다. 특히 부도전에 있는 보물 제1347호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의 탑신부에는 ‘청허당’이란 호가 새겨져 있다. 문화재 명칭과 실제 탑신부에 새겨진 명칭이 일치하지 않아 청허 휴정 대사 또는 서산대사에 관한 용례를 문헌으로 검토해 본 결과 부도의 명칭은 ‘해남 대흥사 청허 휴정부도’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淸虛堂行狀」, 『淸虛集』, 1630년 월사 이정구가 찬한 비문, 1632년 계곡 장유가 찬한 비문에서는 청허 휴정이 대흥사에 주석하였다는 사실과 자신의 의발(衣鉢)을 해남 대흥사에 전하라는 유언이 있었는지는 여부를 당대나 17세기의 사료로 직접적인 양자의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1727년에 채팽윤이 지은 ‘해남대둔사사적비명’을 고려하면 현존하는 휴정의 의발이 17세기 중반 무렵 전해졌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특기할 만 사항은 1791년 서유린이 찬한 ‘海南大興寺西山大師表忠祠紀蹟碑文’에는 휴정의 행장과 문집, 금석문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휴정의 의발 유의처로 대흥사와의 상관관계를 최초로 언급하였고, 후대에 쓰인 문헌자료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1778년에 건립된 청허 휴정 대사의 탑비를 분석하였다. 이 비문의 찬자 장유의 『계곡선생집』에 수록된 청허 휴정의 비명에 의하면 휴정이 남방에서 주석하였다고 한 곳은 ‘伽倻海印寺’로 기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명(碑銘)도 ‘淸虛大師碑’로 대흥사나 대둔사의 사명(寺名)이 비명에 기록되지 않은 반면, 1647년 해남 대흥사에 세웠다고 전하는 금석문에서는 휴정이 남방에서 주석하였다고 한 곳이 ‘伽倻海印寺’ 대신 ‘天冠諸庵頭輪大興寺’로 기록되어 있으며 비명도 ‘海南縣大興寺淸虛大師碑銘’으로 장유가 지은 비문과 금석문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131년 후에 같은 비문으로 청허 휴정 대사의 비를 다시 세우는데, 그에 관해서는 이유를 연담(蓮潭) 유일(有一)의 문집에서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tone stele of Buddhist Master Seosan at Daeheungsa Temple and reviews that with the stone stupa from a view of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d the stone stele of Master Cheongheo Hyujeong at Daeheungsa and reviewed his activities, temple, and name used in the designation as stone cultural property by relating to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inscription or epigraph on the stele at Daedunsa temple, Saji, and Jiriji.
    There appeared the name of the mountain and the temple, ‘Duryunsan and Daedunsa’ in geographic books,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in early Joseon and 『Yeojidoseo』 in late Joseon, and ‘Daeheungsa’ as another name of Daedunsa in the epigraph, ‘Haenamhyun-Daeheungsa-Cheongheo- daesa Bimyeong (meaning Stele of Master Cheongheo at Daeheungsa in Haenam-hyun)’ built in 1647 and 『Daedunsaji』 published in 1823. Thus, it is true that the letter, ‘Ryun’ of Duryunsan and the name of ‘Daeheungsa’ were not mad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aeheungsa has lots of Master Cheongheo Hyujeong’s relics, and some of them have been maintained and displayed as designated Treasure of National Cultural Property and 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nnam. Especially, Treasure No. 1347, ‘Stele of Master Seosan at Haenam Daeheungsa’ in Stupa Hall shows his pen name, ‘Cheongheodang’ engraved on the body of the ste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me used in the cultural property.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as entitled as 『Cheongheodangjip』 meaning Cheongheodang Collection, and late-Joseon Dharma lineage and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show his official pen name as Cheongheo, which means that his name used on the stupa should be changed to ‘Stele of Master Cheongheo Hyujeong at Haenam Daeheungsa’ by reflecting the historicity of the official name.
    Lastly, the study analysed the stone stupa of Cheongheo Hyujeong established in 1778.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f Cheongheo Hyujeong shown in 『Gaegok Seonsengjip』 by Jang Yoo who was the writer of the inscription, the place where Hyujeong joined a Buddhist monastery in the southern part was recorded as ‘Gaya Haeinsa Temple’, and also the stele was mentioned as 「Stele of Master Cheongheo」 with no record of the name of Daeheungsa nor Daedunsa. While the stele known as built in 1647 at Daeheungsa in Haenam says the place where Hyujeong joined a buddhist monastery in the Southern part was ‘CheongwanJeam- DuryunDaeheungsa’ instead of ‘Gaya Haeinsa’, and the name of the stele as ‘Stele of Master Cheongheo at Haenamhyun-Daeheungsa’ different from that of Jang Yoo. After 131 years, the stele for Master Cheongheo Hyujeong was rebuilt with the same inscription, and the reason was presented in Yeondam Yoo Il’s collection of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