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마당극 공연사 연구 (The Study on History of Korea Madangkuk Performanc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2
17P 미리보기
한국 마당극 공연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25권 / 1호 / 91 ~ 107페이지
    · 저자명 : 서상규

    초록

    마당극은 1960년대에 시작된 전통연희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탈춤부흥운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70년 초에 탄생한 한국의 고유한 공연양식이다. 전통 민속예술인 가면극, 풍물, 전통무용, 판소리, 민요 등을 공연의 주 창작 재료로 받아들여 민족적이고 민중적인 가치를 지닌 삶의 연극을 주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연 예술적 미학을 굳건하게 세웠다고 할 수 있다. 70년대 초반 마당극이 탄생한 이후 약 20여 년 동안은 반민주 독재 권력에 맞선 저항예술로서, 또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해소와 실천을 위한 진보적이고 민중적인 예술로서 시대적 소명을 갖고 정치적이고 사회 참여적 예술로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마당극은 70년대의 성장기와 80년대의 전성기를 거친 후, 90년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정체기 또는 침체기를 겪고 있다. 90년대는 국외적으론 소련연방의 해체와 세계화 시대가 도래하고 국내적으론 김영삼 문민정부가 탄생하자 일정부분이나마 정치는 안정되고 사회 불평등이 해소될 기미가 보이게 되었고 이는 마당극의 주요 개념인 민중과 민주의 가치가 자연스레 약화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까닭에 90년대 중반 이후 마당극이 지향해야 할 목표가 약화하거나 해소되어 마당극단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표류하기 시작했고 마당극의 쇠퇴기가 도래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2021년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난 50년간의 마당극 공연사를 조명해봄으로써 마당극의 전성기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또한 마당극 양식성의 재정립을 위한 연기법, 연출법, 무대 구성법 등의 실제적 방법론 모색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여 마당극이 우리나라의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공연양식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고 현재의 침체기를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더불어 70년대 마당극의 탄생부터 시작하여 2020년 현재까지 10년 터울로 마당극의 각 단계를 구분하여 마당극의 공연역사에 기억될 만한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문헌 연구로 이루어진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는 마당극의 침체기임에도 불구하고 서울, 수도권과는 달리 지역에서 활발하게 마당극 공연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극단들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마당극의 미래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Madangkuk is a unique performance style in Korea that was born in the early 1970s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the mask dance revival movement for the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s that began in the 1960s. By accepting traditional folk arts, such as mask plays, pungmul (percussion instruments), traditional dance, pansori (korean unique song), and folk songs, as the main creative materials for performances, they argued for a play of life with national and popular values, and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performing arts aesthetics were firmly established. For about 20 years after Madangkuk was born in the early 1970s, it has been used as a political and socially participatory art with the vocation of the times as a resistance art against the anti-democratic dictatorship, and as a progressive and popular art for resolving and practicing socioeconomic inequality. It can be said that he was very active. However, after going through the growth phase of the 70s and the heyday of the 80s, Madangkuk has been going through a period of stagnation or stagnation from the mid-1990s to the present. In the 1990s,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abroad, and the birth of the civilian government, Kim Young-sam, domestically, there were signs that politics would be stabilized and social inequality would be resolved, at least in part. The value had to be weakened naturally. For this reason, after the mid-1990s, the goal of the Madang Theater was weakened or resolved, and the Madang Theater lost its identity and began to drift away, and the decline of Madang Theater began. This phenomenon can be said to continue even to the present day in 2021. Therefore, by illuminating the performance history of Madangkuk over the past 50 years, we provide an opportunity to revive the heyday of Madangkuk, and explore practical methodologies such as acting, directing, and stage composition for re-establishing the stylistic of Madangkuk. We aim to escape the current stagnation by establishing itself as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