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재필의 한국근대사 인식 (The Ideas on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Philip Jaisoh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12
40P 미리보기
서재필의 한국근대사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1호 / 303 ~ 342페이지
    · 저자명 : 주진오

    초록

    이 글은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에서 발간한 My Days in Korea and Other Essays에서 ‘My Days in Korea’ 부분에 나타난 서재필의 한국근대사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My Days in Korea’는 『신한민보』의 영문판 The New Korea에 1938년 7월 7일부터 1940년 4월 4일 까지 약 1년 9개월에 걸쳐 매주 한 번씩 연재되었다. 이렇게 영문으로 기고를 하게 된 이유는 이미 한글을 잊은 한인 2세들에게 한국의 근대사를 알린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조선의 왕실을 부패한 존재로 매도하고 있으며 백성들에 대해서도 무지한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특히 고종에 대해서는 무능한 군주로 평가하는 한편, 명성황후는 조선의 국정을 파탄으로 몰아넣은 주범으로 서술하고 있다. 반면에 대원군에 대해서는 배외주의자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유능한 정치가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그는 조선을 은둔의 왕국으로 묘사하면서 문호개방과 자주적 근대화를 추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지 못한 나라로 평가하였다. 중국에 대해서는 조선과 비슷한 수준의 나라로서 배울 것이 없는 나라로 혹평을 가하였다. 반면에 일본은 근대 지향적이고 조선에 대해 선의를 가지고 도와주려고 하던 나라로 평가하여 그 침략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한 악조건 속에서 조선의 근대화를 지향했던 개화파 세력에 대해서는 격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일으켰던 갑신정변에 대해서도 한국근대화를 위해 불가피했던 사건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갑신정변이 준비 없이 진행된 ‘조끼 주머니 속의 혁명’이라고 반성하기도 하였다. 독립신문과 독립문 그리고 독립협회에 대한 서술에서는 자신이 주도한 것으로 서술하면서 러시아와의 대립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의 기고문을 통해서 그가 얼마나 당시의 역사에 대해서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를 정당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글은 그가 고령에 다가 직접 체험했다는 것,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이라는 점이 복합되어 당시 한인 2세들에게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그러나 그 내용은 오히려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조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심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Sŏ Chaep’il [Philip Jaisohn]’s understanding of modern history of Korea as reflected in his “My Days in Korea.” Recently reprinted in Philip Jaisohn, My Days in Korea and Other Essays, published by Yonsei University Institute for Modern Korean Studies, “My Days in Korea” comprised his weekly contributions over a year and nine months, from July 7, 1938 to April 4, 1940, to The New Korea, the English-language edition of the Sinhan minbo. He wrote in English, as he intended to familiarize America’s second-generation Koreans, who did not know Korean, with the modern history of their parents’ homeland. To begin, he denounced the Chosŏn royal house as corrupt, as well as depicting the Korean people in general as ignorant. In particular, he assessed Emperor Kojong as an inept monarch while denouncing Empress Myŏngsŏng as the culprit who brought national governance to ruins. In contrast, the Taewŏn’gun earns Sŏ’s praise as a capable statesman in spite of his limitation as an isolationist. Regarding Chosŏn Korea as a country Sŏ depicts it as the “Hermit Kingdom” that lacked the conditions for pursuing an open-door foreign policy and autonomous modernization. Korea’s immediate neighbor, China, was no better off as a country from which nothing is worthy of learning, whereas Japan—with its modern orientation—sincerely sought to help Korea; Japan’s aggressions toward Korea gets no mention. Presenting the Enlightenment Faction as a force that worked for Korea’s good in spite of such adverse conditions, Sŏ spares no praises. He characterizes the Kapsin Coup (1884) that he and other Faction members engineered as an undertaking inevitable for the sake of Korea’s modernization, though he shows remorse when down-playing the Coup as “a revolution inside a vest pocket” attempted without adequate preparation. In his discussion of The Independent, the Independence Gate, and the Independence Club, Sŏ describes them as his initiatives and emphasizes his confrontational stance toward Russia. Overall, his writing reveals how his information on Korean history was inaccurate, as well as an effort to justify his earlier actions. The second-generation Koreans must have read Sŏ’s writ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thoughts of a man of advanced age epitomizing the American dream were based on actual experience. Ultimately then, “My Days in Korea” most likely imbued them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