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직내 변호사의 윤리 (The Ethics of the In-house Lawy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2.02
38P 미리보기
조직내 변호사의 윤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19권 / 3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최창귀

    초록

    공공성과 독립성은 변호사의 본질적 속성 중 하나이다. 변호사가 어느 조직에 소속되어 일한다는 것은 원래 변호사 제도가 상상하던 일은 아니었다. 조직에의 편입 자체가 독립성과 공공성을 해하는 것일 수 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변호사가 일정한 조직 속에 편입되어 타인의 지휘ㆍ감독 하에 변호사 업무를 행한다는 것은 지극히 예외적인 현상이었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행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기업을 중심으로 한 공사의 단체에서 법률수요가 날로 증가하였고 변호사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에의 부응도 가능해졌다. 초기에는 변호사는 이른바 고문변호사로서 어느 조직의 법률상담과 사건의뢰에 상시적 우선적으로 임하는 것이었지만, 점차적으로 업무수행의 유형이 다양화하면서 아예 변호사가 조직 내에 편입되어 직무를 수행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향후에는 조직에 편입되어 일하는 변호사의 비율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조직에 편입됨은 독립성과 공공성을 상실할 위험의 증가를 의미하기에, 조직에 편입되어 일하는 변호사의 윤리는, 조직의 요구와 변호사 직무의 독립성 ㆍ 공공성의 충돌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단순히 고문변호사의 윤리, 기업변호사의 윤리라는 차원에서 이 문제를 논해 왔다. 그러나 그 논의로는, 기업 외의 공사의 조직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조직의 위계 속에 완전히 포섭되어 일하는 변호사들의 문제를 통일적으로 고찰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우리의 변호사윤리 체계 내에 조직내 변호사라는 개념의 도입필요성을 인정하고 그 용어를 사용하여 조직내 변호사 특유의 윤리적 문제를 검토한다. 그리고 조직내 변호사에도 등록 여부와 개업 여부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음을 지적하고, 변호사 윤리 규범의 적용 가능 여부를 살핀다. 나아가 변호사 직무의 독립성과 관련하여 조직에의 편입 자체에 대한 규제 문제와, 이익 충돌과 관련하여 조직내 변호사의 직무 제한의 문제를 생각해 본다. 그리고, 조직의 위법사실에 대하여 미국과 일본에서 논의되고 있는 위법행위에 대한 조직내 변호사의 시정조치 의무가 우리나라에서도 인정될 수 있거나 인정되어야 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살펴본다.

    영어초록

    Independence and publicness are two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lawyers. The inclusion of a lawyer in an organization was something the lawyer system had not imagined. The very inclusion into an organization may compromise the publicness and the independence.
    In the past in Korea, for a lawyer to conduct legal work as a part of an organization under another person's leadership and supervision was an exceptional phenomenon. However, with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growing complexity of the societ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legal services within an organization, with corporations at its center; furth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awyers has ben able to meet that demand. In early stages, a lawyer may be a legal advisor who would constantly give priority to legal consultations and cases of an organization. However, the increased variety in this work has come to a stage where a lawyer is an integral part of an organization as he or she performs the legal duties. In the future, the percentage of lawyers who work as a member of an organization will probably increase.
    Because the membership in an organization entails the risk of losing public independence, such a lawyer must consider how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demand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ness/independence. Up until now, this discussion took place at the level of the ethics of a legal advisor or a corporate lawyer. However, this discussion does not include organizations other than corporations, and faces its limits in its inability to give unified consideration to lawyers who are completely integrated in an organizations's chain-of-command. This paper admits the necessity of accepting the concept of a lawyer as a member of an organization within the lawyer's ethics structure, and uses that term to examine the unique ethical issues of an in-house lawyer. Further, it points out the varieties of in-house lawyers depending on registration and operation, and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lawyers' ethics doctrine. Furthermore, consideration is given on the issue of regulation on in-house status regarding the independence of a lawyer's work, and the issue of limiting that work regarding conflict of interest. Finally, it examin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n-house lawyer's duty to correct an organization's illegal actions, currently under discussion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whether it can and should be applied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