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열사의 전략적 상황에 따른 계열사 간 및 계열사 내 자원공유의 선택모형 (Collaboration Under Duplicated Diversification: The Strategic Contexts of a Business Unit and their Differentiated Impacts on between- and within-Businesses Resource Sharing)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04
39P 미리보기
계열사의 전략적 상황에 따른 계열사 간 및 계열사 내 자원공유의 선택모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8권 / 2호 / 483 ~ 521페이지
    · 저자명 : 박경미, 권구혁

    초록

    본 논문은 미국의 다각화된 기업과는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진 우리나라의 다각화된 기업에 미국기업 중심의 이론들을 그대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인식함으로써 출발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계열사와 사업부 중 조직계층 상의 어느 수준에서 자원공유가 이루어지는지에 상관없이 동일한 논리를 적용해 왔지만,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기업이 가지는 구조적 특성을 고려할 때 계열사 간 자원공유와 계열사 내 사업부 간 자원공유는 서로 다른 논리를 기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계열사 간 관련성, 계열사의 전략적 미션, 계열사의 경쟁전략, 계열사 보유자원의 매력성을 자원공유의 결정요인으로 제시하고, 이들 중 어떤 요인이 계열사 간 자원공유에 영향을 미치고, 또 어떤 요인이 계열사 내 사업부 간 자원공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설검증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계열사 간 산업의 관련성과 자원의 관련성의 정도가 높을 수록 계열사 간 자원공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열사의 전략이 차별화 전략을 취하는 경우 계열사 간 자원공유를 많이 하며, 원가우위 전략을 취하는 경우 계열사 내 사업부간 자원공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열사의 자원보유수준이 높고,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가치가 높을 수록 계열사 내 사업부 간 자원공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열사의 자원보유수준이 낮을 수록 계열사 간 자원공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수준에 따라 자원공유의 논리가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제까지 자원공유에 관한 기존의연구들은 분석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한 논리를 획일적으로 적용하였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분석수준에 따라 자원공유의성격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차별적인 논리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본부-계열사-사업부의 특성을 반영하는 통합적 분석틀과 분석수준에 따른 차별적 논리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계열사 간 자원공유와 계열사 내 사업부 간 자원공유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어떤 식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입증했다는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Existing diversification researches in Korea have accepted the theories for american diversified firms without question. However, the research practice like this may cause a theoretical problem in that Korean diversified firms are so different in organizational structure compared to american on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Korean diversified firm is based on a tripletier system composed of corporate, business, and divisional levels whereas an american one has only corporate and business levels. Due to structural distinction of Korean diversified firm, the logics need to be separately identified according to an organizational level to which it is applied. The issue of resource sharing is also unexceptional. The logic should be differentiated whether the resources are shared between businesses or between divisions within a business.
    It is stressed in this paper that resource sharing at each level has its own logic. We present relatedness, strategic mission, competitive strategy, and resource attractiveness measured at a business level as the determinants of resource sharing and clarifies which determinant would be effective in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or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We could get the following results by testing the hypotheses. First, industrial and resource relatedness affect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in a positive way, whereas neither has an influence on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 build mission would be related to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and a harvest mission would be related to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However, neither one is significantly supported. We infer the reason from the possibility that the business units to which a build or a harvest mission is assigned indiscriminately involve in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because a business unit with a build mission is supposed to be given the resources from other ones whereas the one with a harvest mission is supposed to give. As the fact that a business unit with a hold mission falls on the cell of star in the BCG matrix indicates that it should feed itself, it is encouraged to share the resources inside to efficiently utilize its own resources rather than to give or to be given them. A business unit with a divest mission might not share the resources with other business units as it prepares for being sold or liquidated. Third, a differentiation strategy affects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but it does not affect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In contrast, a low-cost strategy does not affect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but it affects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Fourth, resource value is positively influential to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Also, resource level is related to resource sharing within a business in a positive way and is related to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in a negative way. We expect that resource value would not affect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because of its inimitability, but the result shows that it does affect. It implies that the inimitability of resources blocks transferring not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but between different organizations as the reason why the resource cannot be imitated is rooted in organizational specificity such as path dependence or tacitness. It would not be so easy for the business units which resides in the different firms to replicate other one’s resources even if they are in the same industry.
    However, those in the same firm would not have such a difficulty in imitating the resources in spite of industrial difference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we argue that a differentiated logic should be applied to each of the organizational levels. On the contrary of existing researches which use a homogenized logic regardless of an organizational level to which it is applied, we stress that a discriminative logic should be used because the basic nature of resource sharing at a specific level is not the same as the one at another level. By focusing on the properties of resource sharing in addition to its extents, we expand the research scope. Another one is that we include various determinants of resource sharing at a business level in a diversified firm. The traditional approaches are mainly executed at a corporate level and have limits in considering the business-level variations. They contend that the actualization of resource sharing between businesses is dependent on the corporatelevel diversification strategy, but they do not concern how the relationships among businesses are constituted and how the resources are shared in the corporate-level analyses. It is therefore required to lower down the level of analyses right below the one at which its benefit is realized. In other words, resource sharing should be explored at a business level when its performance is materialized at a corporate level. The level of analyses might be much lower down to a divisional on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ver a corporate headquarter-business relationship when the analyses are implemented at a divisional level as the divisions do not receive direct orders from the corporate headquarter. So the best way for integrative explorations of the vertical relationships among corporate headquarter, businesses, and divisions is to access them at a business level like this study.
    Finally, this study takes an overall look of a Korean diversified firm composed of corporate, business, and divisional levels to reflect its structural feature. Existing researches tend to examine a fragmentary side such as corporate-business or business-division because the logic that they use is originated from the theories designed for a american diversified firm which is composed of only corporate and business levels. We intend to perform a full analysis of a Korean diversified firm by suggesting an integrative research model that covers all of the triple-le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