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속국(屬國), 속방(屬邦)’의 개념사 (History of Concepts on Chosun=sokkug(屬國, C; shuguo, J; zokugoku), also Known as ‘chogongkuk’(朝貢國, C; chaogongguo, J; chokoukoku))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3
45P 미리보기
‘조선=속국(屬國), 속방(屬邦)’의 개념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8권 / 1호 / 95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봉진

    초록

    동아시아 전통의 속국이란 간단명료한 개념이었다. 즉 조공국의 별칭이었다. 이 조공국=속 국은 크게 두 범주로 나뉜다. 따라서 각각의 차이가 있긴 하나 기본적으로 ‘내치-외교의 자주’ 라는 고유한(inherent) 권리를 향유했다. 달리 말해 동아시아 전통의 특유한(endemic) 주권 즉 ‘전통적 주권’을 누리고 있었다. 당연히 이에 합당한 주권 관념을 지니고 있었다. 그 관념은 서 양 근대의 주권 개념과는 물론 다르다. 하지만 주권의 존재 자체는 다름없다.
    그런데 근대 이래 속국이란 용어는 다의적이자 애매모호한 개념으로 변질되어 나갔다. 그 원 인의 하나는 일본에서 ‘식민지’를 속국이라고 칭하면서 그 번역어가 된 탓이다. 또 하나는 청국 에서 1860년대부터 1880년대에 걸쳐 ‘조선=속국, 속방’론이 발명되었던 탓이다. 이로부터 속국 개념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오해할 여지가 생겼다. 실제로 속국 개념 속에 전통과 근대 가 뒤섞인 채 해석상 혼란이 발생했다.
    이런 해석상 혼란이나 오해는 청일 전쟁 이후에는 해소되어야 마땅했다. 조·청 간의 조공 관계가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 그 후에도 자의적 해석은 이어졌다. 이로 인한 왜곡, 오해는 지금껏 곳곳에 퍼져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전통에 대한 무지’와 그 ‘무지의 무지’ 탓이다. 그리고 근대주의적 시각 탓이다.
    이러한 일련의 사항/문제를 염두에 두고 본 논문은 ‘조선=속국, 속방’론의 개념사를 고찰한다. 단, 그 고찰에 앞서 동아시아 전통의 속국=조공국을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다음으로 ‘조선=속국, 속방’론의 발명을 고찰한다. 제3절에서는 이른바 ‘속방 조항’에 얽힌 문제를 검토한다. 제4절에서는 ‘조선=속국, 속방’론을 둘러싼 대립 양상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청일 전쟁 이후에도 속국 개념의 자의적 해석이 이어진 까닭의 일부를 밝힌다.

    영어초록

    In the East Asian tradition, sokkug(屬國, C; shuguo, J; zokugoku) was a simple and clear concept. It is another name for “chogongkuk”(朝貢國, C; chaogongguo, J; chokoukoku), a so-called tributary kingdom. Chogongkuk(i.e., Sokkug)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However, it basically means the inherent rights to enjoy the “autonomy of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In other words, it was gifted by nature with endemic rights in East Asian tradition – namely, “traditional sovereignty.” Accordingly, such ideas of sovereignty were taken as a matter of course. However distinctive from the concept of modern Western sovereignty it maybe, such ideas make no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sovereignty itself.
    However, in the modern period, the term “sokkug” was changed into a concept with multiple ambiguous meanings. One reason was that, in Japan, “sokkug” became a coined word for the “colony.” Another reason was that the Qing dynasty in China, from the 1860s to the 1880s, invented the argument of “Chosǒn(朝鮮) = sokkug and/or sokbaug(屬邦).” This provided plenty of room for self-willed interpretations of the term “sokkug.” However, in reality this resulted in a lot of interpretative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s, since the term “sokkug” became a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thought.
    Such confusion or misunderstandings should have ended and disappear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as the tributary relations between Chosǒn and Qing were abolished. However, this did not happen, as the self-willed interpretation of the term “sokkug” continued.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was spread across the world and continues to persist in certain parts even today. Why? The reason is, first of all, “ignorance about East Asian tradition” along with its “ignorance of ignorance” and the biased view of modernism.
    Keeping these problems in mind, I examine a conceptual history about the argument of “Chosǒn = sokkug, sokbaug.” But first, I explain the traditional term “sokkug”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econd, I describe how the argument of “Chosǒn = sokkug, sokbaug” had been invented. Third, I examine the mixed issues of “sokkug clause” that the Qing dynasty of China demanded in 1882. Fourth, I explore a series of the polemic phase regarding the argument of “Chosǒn = sokkug, sokbaug.” Lastly, I present several reasons why the self-willed interpretation of the term “sokkug” continu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