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수자공양의 한국사회 정착과 그 의미 (A Study on Settlement of Japanese Mizuko-Kuyo in Korean Society and its Significanc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11
17P 미리보기
일본 수자공양의 한국사회 정착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91권 / 2호 / 355 ~ 371페이지
    · 저자명 : 김석란

    초록

    本研究は、仏教系寺院で行われている死者儀礼である'堕胎児薦度齋'が、韓国社会でどう定着していき、その意味は何であろうかを考察している。それは堕胎児薦度齋が行われている韓国の仏教寺院とその依頼者の事例を通じて行った。堕胎児薦度齋は、日本の水子供養を導入し韓国の仏教系が新たな死者儀礼として誕生させたものである。子供が祭られたことのない韓国の伝統社会では、このような儀礼はここ30年ほど前までは見られなかった。今現在は宗派を問わず韓国の仏教系の寺院では頻繁に行われている。日本から導入されたといい、その形式や方法からは日本の痕跡は見当たらない。韓国で行い始めた1985年以後から仏教系は、経典をもって堕胎女性たちに、堕胎は罪であり殺人であると警覺心を呼び起こしている。また堕胎児は祟りを起こす冤魂であることから鎭魂に対象であると説明している。堕胎女性はこういった仏教の立場をそのまま受け入れ、自分の見回りの問題の解決やその予防或は罪意識から解放される手段として活用している。堕胎児薦度齋は、産兒制限や男兒選好思想等で、胎兒に対する生命観が稀薄していた韓国社会と堕胎女性たちに、胎児の生命の尊嚴と倫理に対する意識の変化を齎した。堕胎児薦度齋の依賴者は、仏教系信者に限らず非仏教系の依賴者にまで拡大·展開しつつある。また、寺院側からネットでのホームページ等を運営し、依頼の手続きや接近性の容易と秘密保障を図っている。ネットでの申し込みとなると非仏教系の依頼者はいっそう増える。これは儀礼の商業化と繋がることになる可能性が高い。日本の水子供養が'堕胎児薦度齋'として変容されて韓国社会に受け入れられるようになったのは、韓国の伝統文化の基底に存在してる憑靈信仰と仏教系の死者儀礼である靈駕薦度という存在があったからこそ出来たことである。韓国式水子供養である'堕胎児薦度齋'は仏教系の死者儀礼として韓国社会に定着しつつ、仏教性の民間信仰として韓国の新たな伝統文化になりつつある。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 Korean Buddhist memorial servicefor the unborn dead was examined to understand its settlement in Korean societyand the signific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Korean Buddhist temples thatactually practice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 with cases of clients.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 is the newly born memorial service in KoreanBuddhist society after introducing Mizuko-Kuyo from Japan. Before the ritual forthe unborn dead, such rite could not be found in a traditional Korean society wherea child could not be the subject of memorial service. Today, however, this ritualis frequently practiced in Korean Buddhist society regardless of its religiousdenomination. Although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 was introduced from Japan,vestiges of Japan are not found in formality and methods of the ritual. Since thefirst practice of the ritual in 1985, Korean Buddhist society has aroused attentionfrom women who had an abortion, emphasizing that an abortion is murder and asin according to Buddhist scriptures. In addition, they explain that the unborn deadare the subjects of a repose of souls since they are sorrowful spirits that causetroubles. Women who had an abortion accept this Buddhist perspective and use itas a solution or prevention from their problems and as a means of emancipationfrom their sense of guilty.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 has changed dignity ofhuman embryos and ethics in women who had an abortion and Korean society wherethere was not much of respect for the life of human embryos due to birth controlpolicies and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Clients for the ritual of theunborn dead have became various including Buddhists and non-Buddhists. TheBuddhist society has promoted an easy access to a request for the ritual by havingonline website. Due to thi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non-Buddhist clientsonline compared to offline clients, which could make the ritual become commercial.
    The transformation of Japanese Mizuko-Kuyo into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and its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were possible because of possession belief atthe bottom of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Buddhist memorial service calledYounggacheondo. 'The ritual for the unborn dead' of Korean Mizuko-Kuyo hassettled in Korean society as a Buddhist memorial service and taken its root in newtraditional Korean culture as a Buddhist folk belie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