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英祖의 『聖學輯要』 이해와 君師 이념 (King Yeongjo(英祖)'s Understanding of the 『Seonghakjibyo(聖學輯要)』, and His Philosophy of Pursuing the State of the ‘Master King(君師)')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8.03
38P 미리보기
英祖의 『聖學輯要』 이해와 君師 이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66호 / 55 ~ 92페이지
    · 저자명 : 윤정

    초록

    King Yeongjo, through his reading and discussion of the Seonghak Jibyo/聖學輯要, revealed his political philosophy which considered himself as the ‘Master King(君師)'. He deeply agreed with the not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order and discipline(紀綱) would facilitate the Kings' agenda of easing the pain of the people and bettering their lives in general(安民). Therefore he strong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rder and rules that should be observed by the vassals. Also, Yeongjo considered the old Kings Munwang/文王 and Muwang/武王, who had witnessed the corruption of the world and the loss of the way of things(世道), and then restored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as the most principal cases of Master Kings.
    Through implementing policies designed to serve the public well, Yeongjo tried to secure an image and status of himself as the Master king. The Gyunyeok reform was to help a larger group of people and not the just poor people. He was also determined to complete the dredging(濬川) project which was all his idea and devised against the objection of the vassals. Yeongjo wished to garner the willingly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his projects, and also wished to establish his ruling authority as a Master king. Yeongjo's endeavor to become a Master king meant that he intended to restore the universe's way of things and care for the public.

    영어초록

    King Yeongjo, through his reading and discussion of the Seonghak Jibyo/聖學輯要, revealed his political philosophy which considered himself as the ‘Master King(君師)'. He deeply agreed with the not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order and discipline(紀綱) would facilitate the Kings' agenda of easing the pain of the people and bettering their lives in general(安民). Therefore he strong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rder and rules that should be observed by the vassals. Also, Yeongjo considered the old Kings Munwang/文王 and Muwang/武王, who had witnessed the corruption of the world and the loss of the way of things(世道), and then restored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as the most principal cases of Master Kings.
    Through implementing policies designed to serve the public well, Yeongjo tried to secure an image and status of himself as the Master king. The Gyunyeok reform was to help a larger group of people and not the just poor people. He was also determined to complete the dredging(濬川) project which was all his idea and devised against the objection of the vassals. Yeongjo wished to garner the willingly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his projects, and also wished to establish his ruling authority as a Master king. Yeongjo's endeavor to become a Master king meant that he intended to restore the universe's way of things and care for the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