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보타사(普陀寺) 고려 마애보살상(磨崖菩薩像)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An Iconography Analytical Study on Goryeo Carved Bodhisattva (磨崖菩薩像) at Bota temple (普陀寺) in Seoul)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06
21P 미리보기
서울 보타사(普陀寺) 고려 마애보살상(磨崖菩薩像)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2호 / 295 ~ 315페이지
    · 저자명 : 문명대

    초록

    보타사 마애존상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타사 마애존상 옆에 새겨진 패(牌)의 성격 분석으로 이 마애존상은 제석천 신앙에의하여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보관이 절단 되었지만 옥천암 마애존상처럼 높은 고관을 썼는데 여기에는 화불도 없으며 손에 정병을 들지도 않아 관음보살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함께 온화하면서도 위엄 있는 형태에서 보살상보다는 천신상(天神像) 즉 제석천상의 특징임을 밝힐 수 있다.
    셋째 자연암벽을 이용했지만 균형 잡힌 구도, 위엄찬 형태 등에서 12 세기경 내지 늦어도13 세기 전반기 조각양식임을 알 수 있어서 수국사 목불상이나 개운사 목불상과 함께 당대 마애조각의 대표작으로 생각된다.
    넷째 이 마애존상은 명문과 도상특징 등을 종합해보면 고려에서 국가적으로 가장 깊이 신앙했던 제석천상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고려 조각사 내지 제석천상 연구에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제석천상이 봉안된 사찰은 고려 남경의 제석원 내지 제석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results of Bota temple carved Buddha imag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haracter analysis of the plaque (牌) carved next to the carved Buddha image at Bota temple, it can be seen that this carved Buddha image was formed by Jeseokcheon faith.
    Second, its crown was cut, but it wears a coronet as in the Okcheon rock carved Buddha image, has no Litany Buddha here, and holds no Kundika in its hands, which confirms that it was not Avalokitesvara.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 feature of Jeseokcheon image rather than that of Bodhisattva in a mild yet majestic form.
    Third, it uses a natural rock, but in a balanced composition, dignified form, etc. it can be seen to be a form of sculpture from the 12th or the 13th century at the latest,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masterpiece of carved sculptures of the day along with the wooden Buddhist statue at Suguk temple or the wooden Buddhist statue at Gaeun temple.
    Fourth, this carved Buddha image, combined with inscription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is a Jeseokcheon image which was the most nationally deepest faith in Goryeo, and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Goryeo sculpture history or Jeseokcheon image study. Therefore, the temple enshrined with this Jeseokcheon image can be called Jeseokwon or Jeseoksa of Goryeo Namg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