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위한 법적 검토 (A Leg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saster Technology Using Big Dat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8.09
32P 미리보기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위한 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3권 / 3호 / 357 ~ 388페이지
    · 저자명 : 신지영, 정완, 윤기중

    초록

    재난안전 기술에는 다양한 장비, 안전 시스템 개발, 안전 용품, 인공지능 등을 활용될 수 있다. 이상 기후로 인해 자연재해와 다양한 사회재난, 예상할 수 없는 복합적인 재난들이 발생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가능한 방법을 모두 동원하여서 재난에 대해 예방하고 대비, 대처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민등록 총인구보다 많은 휴대폰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에서 수집되고 있는 통신데이터의 규모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막대하며, 정보통신기술의 핵심 화두인 빅데이터 분석의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데이터,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위한 관련 법·제도를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재난안전법상의 재난정보 수집·공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재난안전법에서 공동이용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협조’ 정도의 부담을 지우는 것일 뿐이고 공동이용의 대상 정보에 대한 범위가 불명확하여 각 기간 관의 정보공유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재난관리와 관련된 정보의 개념과 종류, 범위를 명확히 하여 정보 수집과 활용에 실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정보 보호법제 규제방식이 개인정보보호법과 마찬가지로 ‘사전 동의’, ‘통지’로 이루어져 있고, 현행의 동의제도는 정보 주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지도 못하면서 개인정보 활용 자체를 봉쇄하고 있다. 어느 나라보다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음에도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제정비가 필요하다. 현재의 ‘사전 동의’, ‘통지’, ‘목적 내 이용’을 통한 개인정보 보호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사후 선택권’, ‘사후 거부권’ 등의 개인정보 통제권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은 법적 근거와 사회적 합의 부재라는 지적을 받아오고 있다. 비식별화로 개인정보 활용을 허용하는 것은 프라이버시권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같은 헌법적 기본권을 제한하는 것으로 법률로 제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넷째, 현행법상 재난 발생 시 정보를 수집·이용하는 방법은 정보 주체의 사전 동의를 받거나,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와 제5호를 근거로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할 수 있다고 해석되지만, 이는 적용상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재난안전법에 ‘개인정보 활용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Various equipment, safety system development, safety good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tilized for disaster safety technology. Increasing number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nd unpredictable and complex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forces us to prepare various possible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a range of different situations. There are more mobile phones than the population registered in Korea, and the vastness of data from the mobiles really boggles the mind. Such data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for the big data analysis, or a social focus. The article reviews the statues and the regulations controlling the development of disaster safety technologies which utilize the communication data and other big data, and enunciates problems and an improvement plan.
    First, to collect and share the disaster information with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s underutilized. The Framework Act only imposes the obligation of joint use(uses/used) which is nothing but a burden of ‘cooperation.’ Furthermore, the unclear boundary of the target information for the joint use makes the information-share even harder between the concerned. Consequently, disambiguation or specification of the concept, the types and the range of the information relating to disaster managements is required for the purpose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eco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rules ‘prior consent’ and ‘notice’, which failed to effective protection of the object of the information but to hinder the use of the information. To make the matter worse, there have been continuing data spill even though the stricter system than any other countries. Under the circumstances, some change of the current legislation is desirable; from ‘prior consent’, ‘notice’, ‘use within the purpose’ in the current act to the adoption of such control power as ‘post-occupancy option’ and ‘post veto’.
    Third, ‘Guideline the for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Measures’ has been blamed for a lack of legal grounds and social consensus. Permission to use personal information with de-identification shall be made by the statute because it is the restriction on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privacy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special statues upon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measures need be enacted.
    Fourth, the Framework Act may b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the collec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when a disaster happens can be allowed with a prior consent from the information object or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15(1).3 and 15(1).5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application, however. In conclusion, revised supplementary articles upo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re necessary to the Framework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