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장소’ 기반의 미디어침투 공간 중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 Penetration Space Materiality based on ‘Non-Plac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8.08
12P 미리보기
‘비-장소’ 기반의 미디어침투 공간 중요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4호 / 81 ~ 92페이지
    · 저자명 : 류경원,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는 세계화와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교통수단의 발달로 사람들은 더욱더 빠르게 끊임없이 이동하는 삶을 살고 있다.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출발지와 도착지 외에도 이동하면서 연결되는, 즉 그 사이에 많은 공간들을 스쳐 지나치는데 그들은 경험하면서도 인식하지 못하고 흘러가는 일시적인 장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많아지고 있으며, 현대사회가 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했던 일시적인 장소인‘비-장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텍스트나 이미지, 사운드 등 그 공간의 중심으로서 이루고 있는 미디어가 어떠한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의 일상생활 공간에 침투하여 현대사회를 미디어 공간에서 미디어침투 공간으로 바뀌어 변화시켰는지 새로운 시각으로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우선적으로 이-푸 투안과 에드워드 렐프를 중심으로 기존의 장소 개념으로는 21세기 현대사회를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음을 고찰한 후 새로운 개념 전환으로서 비-장소를 주장한다. 다음으로 볼터 & 그루신의 미디어침투 공간의 개념을 고찰하여 미디어 공간과 미디어침투 공간의 정의를 내리고 21세기 현대사회를 미디어침투 공간이라 정의하면서 비-장소 역시 미디어침투 공간이라는 추출과 함께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침투 공간으로서의 비장소를 마르크 오제가 1992년에 제시한 것을 참고로 하여 이동 및 환승 공간, 소비 공간, 일시적 체류 공간 및 휴식 공간으로 나누고, 볼터 &그루신이 미디어침투 공간이라는 용어를 1999년에 거론하기 시작한 것을 토대로 2000년대 이후의 국내∙외 사례를 선정하여 연구 및 분석을 통해 기술한다. (결과) 밀접한 일상생활 속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비 장소와, 어느 특정지역에 한정짓지 않고 그 공간속에서 얼마나 많은 미디어들이 침투하여 넘쳐나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인식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마르크오제가 제안한 비-장소와 볼터 & 그루신의 미디어침투 공간 개념을 통해 미디어침투 공간으로서의 비-장소는 현대 사회에 새롭게 주목된다. 그 공간에서 현재 다양한 미디어가 우리 생활의 많은 영역에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그것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지하게 되며, 더 이상 현대 사회에서 기술과 미디어를 배제한 삶을 서술하기란 불가능하다고 증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상 속 미디어 침투공간으로서의 비-장소가 하나의 새로운 유동적인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globalization and urbanization develop, people are living lives that are constantly moving faster and faster. As transportation develops, departures and arrivals are not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n other words, during trips, people experience many areas without recognizing them as they pass by. These temporary places build up in numerous ways while modern society changes in various other way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emporary places, “non-places,” that we do not recognize, and how media, which is the center of the space for text, images, sound, and so on, somehow penetrated our everyday lives in various ways, by aiming to see if modern society has changed from a media space to a media penetration space. (Method) On the preferential basis, the traditional concept of location, particularly by Yi-Fu Tuan and Edward Relph is that after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explaining moder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 will argue a new conceptual shift called non-places. Next, I will define the media space and the media penetration space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media penetration space by Bolter & Grusind, and also, I will define the 21st century as a space for media penetration. Further, I will analyze that non-places are also the media penetration space as well. Finally, I will describe non-places as the media penetration space that are divided into moving and transit spaces, consumption spaces, temporary residence spaces, and rest spaces, with reference to Marc Augé in 1992, and based on the fact that Bolter & Grusind started to referring to the term “media penetration space” in 1999, though I will select the 2000s for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y and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recognizes how much media penetrates into spaces and plays important roles without limiting its scope to non-places and specific areas, while not recognized in close daily life. (Conclusions) In this study, through non-places, suggested by Marc Augé, and the concept of media penetration space from Bolter & Grusind, focuses on non-places as media penetration spaces new to modern society. In those spaces, I recognize its importance and value by how various media has impact on many areas of our lives today. It proves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escribe life in modern society that excludes technology and media. Through this, the study shows that non-places as daily life spaces for penetration of media within the media has implications as new fluid lo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