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F애니메이션에서의 인간과 비인간적 존재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Shown in SF Animation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09.05
25P 미리보기
SF애니메이션에서의 인간과 비인간적 존재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4호 / 197 ~ 221페이지
    · 저자명 : 조미라

    초록

    본 논문은 SF 애니메이션에서 인간과는 구분되는 존재들을 '비인간적(非人間的)
    존재'라 정의하고, 사이보그, 외계인, 그리고 괴물 등을 포함하는 비인간적 존재들
    과 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 사이보그는 왜 인간을
    꿈꾸는가, 2) 인간과 외계인의 공존은 가능한가, 3) 인간 안의 또 다른 존재, 괴물
    등의 챕터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인간이 된다는 것, 혹은 어떤 주체, 어떤 인물
    이 된다는 것은 그 의식이 자기 정체성과 하나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엇인가
    되고자 할 때 오직 가능한 것은 스스로 자신을 선택하고 만들어가는 존재다. 이 자
    유의 존재, 선택의 존재는 생물학적인 '인간'이 아니라, '인간성'을 가진 인간에게
    만 가능하다. 따라서 사이보그가 간절히 욕망하는 것은 유기체로서의 신체적 인간
    이 아니라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가치, 그러나 인간 스스로 잃어가고 있는 '인간
    성'에 대한 회복이자 갈망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역사는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의 투쟁의 장이었다. 인간과 로봇, 사이보그, 외계인, 외계인 등과의 대립은 표면적
    으로는 인간과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충돌 과정에서 비롯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인간 자신들의 권위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열등한' 타자의 필요성에서 기인한
    다. 따라서 SF애니메이션에서 외계인과 인간의 공존이 힘겹게 그려지는 까닭은, 인
    간이 타자에게 나와 같아질 것을 요구하거나, 혹은 타자와 같아지려고 함으로써 그
    '차이'를 동일화하기 때문이다. SF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로봇, 사이보그, 외계인,
    괴물 등 수많은 비인간적 존재의 정체는 인간의 또 다른 얼굴, 인간의 야누스적 양
    면의 한 쪽에 다름 아니다. 비인간적 존재는 인간이 갖고 있거나 가져야할 그 무엇
    을 갖고 있는 존재이다. 결국, SF 애니메이션에서 사이보그나 외계인, 괴물 등의
    비인간적 존재가 요구하고 욕망하는 것은 곧 인간이 바라고 욕망하는 세계이며, 나
    아가 유토피아적 세계를 욕망하는 인간의 오래된 꿈, 또는 그런 꿈이 실현된 세계
    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ve defined the beings that are classified different from humans
    in SF animations as 'non-human beings';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he non-human beings that include cyborgs, alines and monsters.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chapters have been researched;1) Why do cyborgs want to be humans? 2) I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liens possible? 3) The monster within a person. Becoming a human, a subject, or a person means the consciousness becoming one with its identity. When aspiring to become something, the only possible thing is the existence that chooses and makes itself on its own. This being of freedom, choice is only possible for humans with 'human nature' and not just biologically 'humans'. Thus what cyborgs truly desire is not the organic body of a physical human but the value that only humans can have, desire for the 'human nature' that humans themselves are losing. The history of humans has always been a field of struggle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The confrontation between humans and robots, cyborgs, aliens seems to arise from the conflicts of humans and non-human beings on the surface, but in reality it is caused by the need for an 'inferior' others to justify humans' own rule and authority. Accordingly, the reason why coexistence between aliens and humans is shown to be difficult in SF animations is because humans identify the 'difference' by demanding others to be like us or by trying to be like others. The true character of countless non-human beings that appear in SF animations such as robots, cyborgs, aliens and monsters are none less than humans' other face, the other side of humans' Janus-face. This is because the non-human beings are beings that have something that humans have or should have. In conclusion, what the non-human beings such as cyborgs, aliens and monster in SF animations desire and demand is in other words a world humans want and desire ; and furthermore, humans' long time dream of a Utopian world or the intention of making such dream world a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