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鍪藏寺碑를 쓴 서예가에 대한 再檢討 (Re-review on person who wrote on monument in Moojangsa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4.06
32P 미리보기
鍪藏寺碑를 쓴 서예가에 대한 再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0권 / 40호 / 271 ~ 302페이지
    · 저자명 : 이종문

    초록

    鍪藏寺碑는 중국의 명필 중의 명필인 王羲之 書風의 대단히 빼어난 글씨로 인하여 서예가들과 금석학자들 사이에 조선시대부터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비석이 크게 파손되어 이토록 빼어난 글씨를 쓴 서예가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확실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이 문제를 두고 무려 수 백 년 동안에 걸쳐서 한국을 위시하여 중국, 일본 등 동양 3국의 학자들 사이에 설왕설래가 무성하게 오고 갔을 뿐이다.
    수 백 년 동안 무장사비를 쓴 사람이 누구인가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이견들을 정리하면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이우, 10권 본 『金石淸玩』의 편찬자, 홍양호, 홍경모, 김정희 등 과거 우리나라의 큰 학자들이 남긴 다수의 기록에 따라 무장사비를 쓴 사람이 신라의 명필 김육진이라고 보는 견해다. 다른 하나는 무장사비의 글씨가 왕희지의 글씨와 닮아도 정말 너무나도 흡사하게 닮아 있으므로 도저히 김육진이 썼다고는 볼 수가 없고, 결국 무장사비는 왕희지의 글씨를 集字하여 세운 集字碑라는 주장이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2009년 최영성이 무장사비를 쓴 사람은 김육진이 아니라 황룡사의 승려라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다. 그 다음 해 개최된 ‘신라 무장사비 국제 학술회의’에 참석한 동양 3국의 학자들도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최영성의 견해를 수용하였다. 그러므로 이제 무장사비를 쓴 사람은 황룡사의 승려라는 쪽으로 그 대세가 기울어진 느낌마저 없지 않다.
    하지만 필자가 최영성이 제시한 증거와 논리를 꼼꼼하게 검토해 본 결과, 그의 주장이 타당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회의에 참석한 동양 3국의 학자들이 기이하게도 모두 그의 견해를 수용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데 대해서도 필자로서는 좀처럼 수긍을 할 수가 없었다. 이 논문은 바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무장사비를 쓴 서예가가 황룡사 승려라는 최영성의 주장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 비석의 글씨를 쓴 사람이 지금까지 서예사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신라의 명필 김육진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음을 밝힌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무장사비를 쓴 사람이 누구냐를 가리는데 있지만, 그것이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서예사를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를 밝히는 일과 직결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영어초록

    Monument in Moojangsa temple was widely known among calligraphers and epigraphist by excellent calligraphy in style of Wang Hsi-chih (王羲之) who is a master calligrapher of master calligraphers in China. But a calligrapher for the monument has not been clearly known to this date because of largely broken monument. In this regards, over hundreds of years, there have been many opinions among scholars in three nation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Many different opinions made on who wrote on the monument would be condensed into two as below. According to some records left by great Korean scholars like Lee Woo(李俁), Hong Yang-ho(洪良浩) etc. in the past, the writer is Kim Yuk-jin, a master calligrapher in Silla dynasty. Another is that the monument is one of characters collected (集字碑) which are Wang Hsi-chih's.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s on the monument closely resemble Wang Hsi-chih's. In the midst of such situation, Choi Yeong-sung suggested a new opinion that the writer on the monument is a monk in Hwangyongsa temple not Kim Yuk-jin (金陸珍) in 2009. Scholars from Oriental three nations who attende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for monument in Silla Moojangsa temple’ held in the next year, accepted his opinion with one voic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holds sway in a monk in Hwangyongsa temple, When it come to writer on the monument.
    However, as a result of careful examination about evidence and logic that Choi Yeong-sung suggested, the author found that validity of his assertion is not so high. In this context, this study pointed out a problem of Choi Yeong-sung‘s assertion that calligrapher for the monument in Moojangsa temple is a monk in Hwangyongsa temple. And then, the author figured out that the person who wrote on monument in Moojangsa temple is Kim Yuk-jin (金陸珍), a master calligrap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