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세법상 비금전신탁 소득 과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axation of Non-Money Trust Income under the Revised Tax Law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5.04
36P 미리보기
개정 세법상 비금전신탁 소득 과세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31권 / 1호 / 291 ~ 326페이지
    · 저자명 : 조경준

    초록

    최근 부동산 등의 기초자산을 분할한 청구권에 투자하는 이른바 ‘조각투자’가 점차 활발해짐에 따라 그 제도화를 위한 노력도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먼저 금융규제 분야에서 선제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2025년 개정 세법이 조각투자상품에 대한 과세 방안을 마련하면서 세법 분야에서도 조각투자 제도화를 위한 첫 단추를 꿰게 되었다.
    실무상 조각투자의 법적 형태는 크게 비금전신탁 수익증권과 투자계약증권의 두 가지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글은 이 중 비금전신탁 수익증권의 과세에 초점을 맞추어 금번 세법 개정 내용을 살펴보고 그 법적 의미 및 향후 과제를 고찰해 본다.
    금번에 도입된 수익증권발행 비금전신탁에 대한 소득 과세의 핵심은 비금전신탁 수익증권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은 그 양도를 포함하여 배당소득으로 과세하고, 비금전신탁은 법인세법상 법인과세 신탁 대상에서 제외하며, 비금전신탁은 집합투자(펀드)와는 유사하지만 그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투자기구로서 그에 대한 과세 제도 역시 집합투자와 구분하여 따로 설정, 운영하겠다는 데 있다.
    이러한 개정 세법의 태도는 기본적으로 비금전신탁을 집합투자와 유사한 것으로 보는 데서 비롯되는데, 그 이유는 양자가 투자자의 투자 목적 면에서 궤를 같이 하고 있는 데서 찾는 것이 타당하다. 비금전신탁과 집합투자 모두 투자자들은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투자성과를 온전히 이어 받아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장래 현금흐름 전부 및 그 처분이익까지도 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기존의 투자신탁에 더하여 비금전신탁까지도 수익증권발행신탁의 법인과세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익증권발행신탁 법인과세 제도 도입이 더더욱 무색해지게 된 점, 아직 금융규제법제 내에서 비금전신탁과 집합투자를 구분해 내는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고 이것이 비금전신탁의 소득 과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등은 추후 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향후 비금전신탁 과세는 큰 그림에서는 집합투자의 모습을 따라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과정에서 오히려 주의를 기울여야 할 바는 비금전신탁과 집합투자의 차이를 세밀하게 구분해 내어 이를 입법에 반영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as the so-called ‘fractional investment’, which invests in claims for the division of underlying assets such as real estate, has become increasingly active, efforts to establish a suitable regulatory framework are also being made in various ways. These efforts were made in the financial regulatory sector meanwhile, and the first step was taken in the tax law sector as the revised tax laws of 2025 have prepared taxation provisions for fractional investment products.
    In practice, the legal forms of fractional investment are divided into non-monetary trusts issuing beneficiary certificates and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axation of non-monetary trust among these and examines contents of the revised tax laws, their legal significance and future tasks.
    Core ideas of the income taxation on non-monetary trusts introduced at this revision are that (ⅰ) profits from beneficiary certificates of non-monetary trust are classified as dividend income including those arising from their transfer, (ⅱ) non-monetary trusts are excluded from the corporate taxable trust under the Corporate Tax Act and (ⅲ) non-monetary trusts are similar to collective investment(funds) but are separate types of investment vehicles, and the taxation system for them will als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separately from collective investment(investment trusts).
    This attitude of the revised tax laws basically stems from viewing non-monetary trusts as similar to collective investment. In both cases, investors seek to gain the investment performance generated from the underlying assets as a whole including all future cash flows and their disposal profits. In other words, both investors are on the same track in terms of investment purposes. In this respect, the basic idea of the revised tax laws can be considered as valid.
    However, since (ⅰ) the introduction of the corporate taxable trust for a trust issuing beneficially certificates has become even more meaningless by excluding not only investment trusts but also non-monetary trusts and (ⅱ) there is still no clear criteria for distinguishing non-monetary trusts from collective investment in the financial regulatory sector, these are future tasks that require further review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taxation of non-monetary trusts in the future will likely follow the pattern of collective investment in the big picture. In the process,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work of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between non-monetary trusts and collective investment in detail and reflecting this in legi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