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급문화로서의 현대건축의 비생산적 소비 (Non-Productive Consump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a High Cultur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10
12P 미리보기
고급문화로서의 현대건축의 비생산적 소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38권 / 10호 / 155 ~ 166페이지
    · 저자명 : 박종현

    초록

    오늘날의 건축은 비표상과 형식보다는 현대적 의미의 예술의 지위를 참조하고, 문화소비자들로 하여금 건축을 고급문화로 여겨지도록 하는 암시를 지속하게 됨을 포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축이 사회구조 안에서 고급문화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고, 생산성의 논리가 아닌 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현대건축의 표피적임과 덧없음의 장식적 경향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진보와 근대성을 대변하고자 한 근대의 예술 전위는 정통적 고급문화를 붕괴시킴으로써 감각의 차별화를 가속시켰다. 한편, 예술과 실용을 결합한 모던 건축은 근대성을 나타내는 무언의 장식으로서 추상성의 표상을 강요하였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엄격함으로 인하여 극단적인 시각성을 총칭하는 스펙터클은 비판적 담론에 인용되어 왔다. 스펙터클, 그리고 소비의 사회에서 이미지는 끝없이 증식하며 모든 것이 교환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고 자본은 교환가치와 기호가치를 재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가장 전략적인 저항은 과잉 순응적 시뮬라시옹이고, 상징적 교환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미지의 홍수에서 비판적인 어감의 부르주아적 문화는 순수한 문화에 굴복하는 중이며 건축의 반-예술 실험은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테일러 포디즘의 한계 이후 건축의 매너리즘은 모순어법으로써 새로움의 의미를 제시하게 되고 불필요하고 과도한 장식의 논리는 건축의 감각화로 나타나게 된다. 현대의 건축가들은 현재를 거부하고 구축의 체계로 환원시키거나 혹은 반대로 바로크적 매너리즘의 환상으로 이끌며 특이한 대상을 끊임없이 만들어 내고 있다. 개인적 사치가 자본의 축적 수단으로 작용되는 것과 달리 현대의 건축적 사치는 가상성에 대한 문화적 실험이다. 오늘날의 개인들을 위한 건축적 사치는 대가 없는 증여와 같은 것이 되어 상징적 교환을 이뤄내고 있고 이것은 새로움과 체계의 전복에 대한 강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건축의 비생산적 소비는 본질에 접근하는데 필요 없는 것들을 소모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oday's architecture refers to the status of art in the modern sense rather than non-representation and formality, and it is captured that cultural consumers continue to imply that Architecture is considered a high 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ornamental trend of skin-deep and ephemeral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consumption, not the logic of productivity. Modern avant-garde art to represent progress and modernity accelerated the differentiation of senses by collapsing the orthodox high culture. Meanwhile, modern architecture which combines art and usefulness forced the representation of abstraction as an unspoken Ornamental representing modernity. Due to the strictness of modernism, the spectacle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extreme visibility has been cited in critical discourse. In the society of spectacle and consumption images proliferate illimitably, and everything has been regarded as an object of exchange, and capital reproduces exchange value and sign value. The most strategic resistance in this society is the over-adaptive Simualtion, and consequently tlathe meaning of symbolic exchange can be found. In the flood of images, the bourgeois culture of critical intonation is surrendering to pure culture, and the anti-art experiment of architecture is being attempted steadily. After the limitations of Taylorism and Fordism, architectural mannerism presents the meaning of novelty as a contradictory word, and the logic of unnecessary and excessive ornament appears as a sensitization of architecture. Nowdays architects are constantly creating unusual things, rejecting the present and returning to the system of construction, or conversely leading to the illusion of Baroque mannerism. Unlike personal luxury acting as a means of accumulating capital, contemporary architectural luxury is a cultural experiment on virtuality. Today's architectural luxury for individuals has become like a gift without a price, creating a symbolic exchange, which does not mean novelty and compulsion to overthrow the system. The unproductive consumption of architecture is the consumption of things that are not necessary to approach the ess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