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폭력 교육을 위한 시론: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을 중심으로 (A Study on Nonviolence Education: Based on Judith Butler’s The Force of Nonviolen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비폭력 교육을 위한 시론: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5권 / 4호 / 83 ~ 108페이지
    · 저자명 : 박지원

    초록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론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비폭력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교 안과 경계에서 벌어지는 폭력은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어 ‘학교폭력’이라는 단일한 개념 장에서는 충분히 논의되기 어렵다. 폭력에 대한 개인주의적·실증적 정의는 항상 그 외부를 만들어내고 특정 대상에대한 복수의 논리에 빠지기 쉽다. 주디스 버틀러는 폭력과 복수의 연쇄작용을 끊기 위해 폭력을 명명하는 권력을비판하며 폭력에 대항하는 기술로서 비폭력을 제안한다. 버틀러에 따르면, 폭력은 생명에게 애도를 차등적으로할당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효과이며 비폭력은 이에 대항하여 애도가치의 평등을 주장하는 활동이다. 비폭력은비공격적이고 수동적이라는 편견과는 달리, 비폭력을 실천하는 인간은 타인에 대한 사랑과 미움의 양가적 감정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이며 비폭력 실천 또한 능동적이고 전투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버틀러의 비폭력론을바탕으로 비폭력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볼 수 있다. 첫째, 비폭력 교육은 폭력 근절이나 도덕성 함양과 같은 개인적 접근을 넘어서 애도가치·생명가치의 평등이라는 사회공동체적 목표를 추구할 수 있다. 둘째, 타인에 대한양가적 감정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상호의존성은 윤리적 실천을 개인의 덕목이나 역량으로 환원하는 도덕교육의대안적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 셋째, 애도하기, 살아있음을 입증하기 등 평등에 참여하는 실천행위는 비폭력 교육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비폭력 교육은 폭력에 대응하고 평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의 한 가지 지평을 제시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ractical nonviolence education, focusing on Judith Butler's theory of nonviolence.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is insufficient to encompass the diverse and complex violence that occurs inside and outside schools. Individualistic and empirical definitions of violence always have exceptions and can easily fall into the logic of revenge against specific targets. To stop the cycle of violence and revenge, Butler criticizes the power that defines violence and proposes nonviolence as a resistance technique. According to Butler, violence is the discriminatory distribution of mourning to life, and nonviolence is an activity that advocates the equality of mourning values. Contrary to the prejudiced view that nonviolence is non-aggressive and passive, humans who practice nonviolence struggle between ambivalent feelings of love and hate toward others, and the practice of nonviolence is also active and combative. Based on Butler's nonviolence theory, we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onviolence education. First, nonviolence education can aim to equalize the values of mourning and life in a social approach that differs from individual approaches such as eradicating violence or cultivating morality. Second, ambivalence and interdependence can serve as an alternative principle to moral education that reduces ethics to individual morality or ability. Third, practices that participate in equality, such as mourning, proving that one is alive, etc., can constitute the methodology for nonviolence education. Nonviolence education can present a new horizon in education to resist violence and promote 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