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교육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협력적 지식창출 절차적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dural Model in k-12 Blended Learning)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2.12
46P 미리보기
학교교육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협력적 지식창출 절차적 모형 개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8권 / 4호 / 803 ~ 848페이지
    · 저자명 : 박선아, 유영만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해 개인과 그룹원간의 협력적 지식창출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절차적 모형을 개발을 통해 블랜디드 러닝 활용 협력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협력적 지식창출을 촉진하는 교수설계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개발연구 절차에 따라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모형을 설계․구안 절차를 상세화하여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또한 개발절차의 일환으로서 이론과 현실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모형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학교교육의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협력적 지식창출 절차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사례연구 대상은 블랜디드 러닝 수업을 수행하는 서울 P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의 사회와 과학수업, 5~6명으로 구성된 5개의 모둠조 그룹을 대상으로 2010년 9월부터 10월초까지 참여 관찰,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심층적 기술, 질적 연구의 코딩, 사례 추출방법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모형을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지식창출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개인과 그룹의 협력적 지식창출 활동이 상호 연계되어 순환하는 일련의 과정속에서 구성원 각 개인들의 이해과정과 활동은 암묵지가 명시지로 표출되어 그룹의 이해와 지식으로 확산, 생성, 전이, 소멸되는 과정을 촉진하는 기반이 되었다. 이는 개인과 구성원간의 지식창출이 별개(別個)의 과정이 아니라 상호 기폭제가 되면서 개인의 지식구성이 구성원 전체에 다시 개인의 지식구성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적 과정임을 이론과 그 간극을 줄여가는 사례분석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절차적 모형은 협력적 지식창출 촉진을 위한 구성주의적 교수설계와 전략에의 시사점은 물론 지식창출 과정, 협력적 지식창출, 학교교육의 블랜디드러닝 측면에서 모형의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cedural model for a series of process in which cooperative knowledge creation arises between an individual and group members in blended learning, and through the model to draw the teaching design or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strategy for the blended learning class of schoo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drew the essential factors of on․off-line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 blended learning in K-12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came up with a theoretical model and complemented the model by elaborating the mod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pplying the model to actual site of school and examining its validity.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social and science class, and looked at the situation through 3 class sessions on social studies class and 4 class sessions on science studies class from September until October in 2010. Looking at how the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blended learning by group was going by dividing the whole class into 5 groups of 5 to 6 students respectively.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learning procedures through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ding and case extraction, etc. Through the result of case study, this study elaborated by drawing the supplement point of the theoretical model; in addition, through the validity analysis of the model by an expert group, this study finally developed the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dural model in blended learning. This study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ccording to research matter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drawing a focus and direction about how to make an approach to promoting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blended learning. Second, this study will be a substantial example of the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between learners in such blended learning. Thir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cretely suggested the way how learners have to carry out learning activity blended Learning and how knowledge can be created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ogether in blended model which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is model will cast implications on teachers' k-12 blended learning based instructional design or establishment of its promotive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