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An Evaluation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s Policy on North Kore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06
31P 미리보기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5권 / 2호 / 131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정철

    초록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은 성공적인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북방외교와 대북정책 간에 우선순위가 불분명하여 대북정책에 관한 평가가 갈리고 있다.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을 국내정치연합과의 관계 속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은 정책결정 과정상의 제도화를 이루지 못하였다. 때문에 대북 밀사나 청와대 주도의 컨트롤 타워가 작동할 경우에는 대북정책에 성과를 낼 수 있었으나, 임기 말 레임덕 상황에 처하자 대통령과 가치를 공유하지 못한 관료들이 부처 이기주의에 따라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정책이 표류했다.
    이념적으로도 노태우 대통령의 대북정책은 포용정책이라고 미화되지만 창구단일화론에서 보듯이 자유주의라기보다는 현실주의적 접근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자유주의 계열의 접근법과 현실주의 계열의 접근법 사이에서 자기 철학 없이 지그재그 행보를 계속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대북정책이 가장 왕성한 시기였던 1990 1992년 상반기에는 3당 합당이라는 국내정치의 정당화 기제에 힘입어 대통령이 직접 대북 드라이브를 걸 수 있었고, 북한 역시 한국정부의 국내적·국제적 정당성이 강화되자 당국 간 대화에 적극적으로 응했다. 그것이 총리급회담의 동력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노태우 전 대통령은 국내외에서 민주적 정당성이 강화되자 외교적 자율성을 과신한 나머지 ‘한국 주도성 테제’를 전방위로 내세우기 시작했다. 북한과의 교차승인이라는 전통적 목표 대신에 북한 고립화에 가까운 한국 우위론을 정책적 전제로 하기 시작한 것이다. 1992년 북미접촉과 북일수교 협상을 사실상 반대하면서 북한의 굴복을 요구하였다. 결국 북한이 굴복보다는 대결정책인 ‘북핵’ 개발이라는 마지막 카드를 내밀게 된 빌미를 제공한 것이다. 그럴수록 일부 보수 세력은 북한에 대한 민족주의적 연대감을 상실했고, 한국의 가치 지향을 세계화로 적시하는 새로운 보수적 가치를 부각시켰다. 즉, 보수 세력이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들을 ‘신(글로벌)보수’라 규정하여 전통적 ‘민족주의적 보수’와 구분하였다.
    문제는 노 전 대통령이 세력연합 내부에서 발생한 민족주의와 글로벌주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그 같은 분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권력의 ‘위임’에 의거함으로써 대북정책의 지속성 확보에 실패하였다는 사실이다. 때문에 노태우 전 정부는 대북정책에 관한 한 양 극단적 상황을 관리할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자신의 성과를 다음 정부로까지 전달하는 데 실패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President Roh, Tae-woo was effective at playing the diplomatic game with the former socialist countries: the so called NordPolitik. In addition, between 1990 and 1991 his North Korea policies were so effective, especially South Korea’s successful 1991 UN membership drive, that North Korea gave up its decades-long One-Korea policy and was forced to also join the UN as an independent member state.
    However, the Roh Adminstration failed to consolidate the progress it had made with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into concrete policy options, in particular as regards inter-korean military confrontation. The failure was mainly due to splits among conservative bureaucrats. During Roh's lame duck session the shocking ‘mendacious report incident’ exposed the conservative bureaucrats’ defiance against Roh’s North Korea engagement policy. In this incident, a high-ranking member of the Prime-Ministerial talks with North Korea in Pyongyang replaced a presidential message that would have allowed concessions with a fabricated one that called for a halt to the talks. This revealed how Roh’s North Korea engagement policy had not been institutionalized but rather had been dependent on his individual leadership.
    In addition, Roh’s approach was not ideologically consistent. While his engagement policy should have been based on liberalism, in many cases they were based on realism and overemphasized the role of the government while excluding all other potential actors.
    He, especially overemphasized South Korea’s role as the go between for all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and thus excluded the role of multilateral dialogue or bilateral North Korea-Japan and North Korea-US dialogue. North Korea viewed this approach as an attempt at isolating it and thus opposed South Korea’s leadership role in the Peninsula.
    As a result while the Roh Administration’s NordPolitik was successful, its North Korea policy, which should have been a part of Nordpolitik, was not successful and failed to continue after his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