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의『國史』 편찬과 儒・佛 접점의 斷想 -왜국 修史와의 비교를 위한 전제(Ⅱ)- (Compilation of Silla's Guksa and Its connection to Buddhist perspectiv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8
40P 미리보기
신라의『國史』 편찬과 儒・佛 접점의 斷想 -왜국 修史와의 비교를 위한 전제(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88호 / 251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재석

    초록

    지금까지 신라의『國史』의 찬수를 보는 통설적 시각은 6세기 신라의 국가적 성장을 토대로 한 진흥왕대의 왕권 강화와 유교 이념의 강화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幼年의 군주 치하에서 이루어지는『국사』 찬수가 왕권 강화와는 구체적으로 어떤 정치적 연결고리를 통해 가능해지는지가 분명하지 않으며 또한『국사』의 찬수를 유교의 관점에서만 보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하는 점에서 재검토의 여지가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필자가 생각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칠부의 관등의 변화를 추적하여『국사』 찬수 기간을 추정해 보면 대략 5년 미만이었을 가능성이 도출되며 이는 비교적 단기간에 이루어진 작업이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왕권’의 개념을 협의의 군주 개인의 권력과 신라의 지배공동체를 표상하는 대표권력이란 광의의 개념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에서『국사』의 성격 또한 그런 관점에서 보아야 함을 언급하였다. 셋째 이사부, 거칠부 등의 찬수 주도세력 및 진흥왕의 권력(왕권) 강화에 보다 직접적인 효력을 발휘하였을 소재로서 신라의 불교 수용사에 대한 기술 문제를 언급하였다. 불교의 수용 문제는 법흥왕대까지 이어진 대표적 君臣 갈등의 사례였으며 그 정치적・사상적 연장선상에 유년의 군주 진흥왕의 시대가 위치하고 있었다. 불교 문제의 기술은 과거 수용 반대파들에 대한 견제의 의미와 함께 유・불 습합의 현실의 정치를 주도해갈 수 있는 명분을 강화해 주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이사부의 <君臣善惡・褒貶>론은 그저 명분론적인 수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매우 현실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넷째 당시 신라의 지적 풍토는 주지하듯이 이미 유・불의 습합적 상황이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국사』의 찬수도 유교만이 아니라 불교와의 연관 속에서 재음미해 볼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진흥왕의 연호인 ‘開國’과 건국기년인 갑자년에 대한 관심도 불교적인 맥락과 연관지어 생각해보았다.

    영어초록

    Regarding the compilation of Silla's “Guksa(National History)," it mainly emphasized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Confucian ideology of the King Jinheung based on the national growth of Silla. In this paper, I mentioned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atus of Geochilbu, it is possible that the compilation period of “Guksa" was less than about five years, indicating that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econd, I mentioned that the nature of “Guksa" should also be viewed from that point of view, in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the individual power of the monarch of consultation and the representative power representing the ruling community of Silla.
    Third, the issue of narrative of Silla's Buddhist expropriation history was mentioned as a subject that would have had a more direct effect on strengthening the power (king power) of King Jinheung and others, such as Isabu and Geochilbu.
    Fourth, as is well known, Silla's intellectual climate at the time was already a convergent situ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I think that the admiration of “Guksa" from this situation can be seen not only in Confucianism but also in connection with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