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운사 대웅보전 三身三世佛形 毘盧遮那 三佛壁畵의 연구 (The Vairocana Trikaya, the Wall Painting, at the main Buddha hall of Seonunsa Temp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8.06
26P 미리보기
선운사 대웅보전 三身三世佛形 毘盧遮那 三佛壁畵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0호 / 75 ~ 100페이지
    · 저자명 : 문명대

    초록

    전북 고창군 선운산에 소재한 선운사는 백제 때 창건된 역사 깊은 고찰(古刹)인데 많은 건물 가운데 주 법당인 대웅보전에는 비로자나불 등 삼불상과 삼불벽화가 봉안되어 있다. 특히 삼불후불벽화는 후불벽화로서는 무위사 아미타후불벽화와 함께 두 예 밖에 없고 더구나 삼불후불벽화로서는 유일한 예로 우리나라 불화 중 가장 귀중한 예의 하나로 중시되어야 한다. 이 비로자나 삼불벽화의 중요성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벽화의 화기에는 명칭과 성격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이 三軸尊像이라고만 기록되어 있을 뿐이지만 불상 묵서기에 기록되어 있듯이 중앙은 비로자나불 벽화이고 왼쪽은 약사불 벽화, 오른쪽은 아미타불 벽화로 구성된 삼불벽화이다. 이를 조화시켜 삼신삼세불형(三身三世佛形) 비로자나 삼불(毘虜遮那三佛), 줄여서 비로자나 삼불로 명명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지 않을까 한다. 둘째, 이 비로자나 삼불후불벽화는 후불벽화로서는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후불벽화와 쌍벽을 이루는 단 두 예밖에 없는 후불벽화이자 3폭 벽화로서는 유일한 예로서 극히 귀중한 불화인 것이다. 셋째, 본존은 전 화면을 압도할 정도로 큼직하게 그리고 좌우여백에 각 4존씩 8존의 협시를 배치한 9존도 형식의 불화인데 장신의 불보살상 형태, 이마가 높고 긴 타원형 보살 얼굴,연푸른 녹색조의 화면 등 독특한 도상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1840년에 조성된 벽화이지만 당시의 불화특징을 살리면서도 도식적인 특성이 강한 다른 불화에서 볼 수 없는 회화성이 짙고 형태나 선묘가 활달하고 유려하며 싱그럽고 시원한 연푸른 녹색조의 양식 특징이 잘 조화되어 있어 한국의 최고 수준의 불화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이 후불 벽화를 조성한 화원은 전라도 일대에서 가장 대표적인 화승계보에 속한수화원 원담내원(圓潭乃圓) 및 익찬(益贊) 등 최고로 이름난 화승(畵僧)들이 심혈을 기울여제작한 후불벽화라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영어초록

    First, there is no mention of the identity of the images in the inscriptions on the wall except that it is the 'Samchukjonsang(三軸尊像),' however, as is written in the document related to the Buddha sculpture, the images are the trikaya comprising Vairocana in the center, Bhaisajvaguru on the left and Amitabha on the right. They can, thus, be referred to as the Vairocana Trikaya in the form of three bodies and three time periods(三身三世佛形). Second, this Vairocana Main Platform Painting is one of the only two extant examples in Korea along with the Amitabha Main Platform Painting of the Amitabha Hall of Muwisa Temple. Also, it is the only example as the three-panel Main Platform Painting, thu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s is tremendous. Third, the main Buddha image is rendered as large as to cover the entire wall with the eight Bodhisattvas flanking Buddha on either side, four on each side. The images show unique characteristics with slender bodies, high foreheads, oval shaped faces, and pale greenish colors. Fourth, the wall painting was done in 1840, however, it shows artistic perfection as a work of painting, the forms and brushwork energetic and fluent, and the greenish coloring fresh and sensitive, placing the work as one of the highest level Buddhist paintings in Korea.Fifth, the artists who created the Main Platform Painting are found out to be the priest-painters including master painters Wondamnaewon(圓潭乃圓) and Ikchan(益贊) who belong to one of the leading priest-painter schools active in the Jeolla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