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의 사이와 공존 - 불일치의 공존에 관한 체계론적 사유1 (Kant’s Betweenseness and Co-Existence - A Systemlogic Thinking on the Co-existence of Inconsistency1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칸트의 사이와 공존 - 불일치의 공존에 관한 체계론적 사유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105권 / 29 ~ 52페이지
    · 저자명 : 김은하

    초록

    요컨대 사이로서의 형식은 규정들의 병존 관계에 대한 반성을 유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유 조건이다. 사이로서의 형식은 규정 관계들의 간격을 통일성 있게 반성할 (reflektierend)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인식원리’로 작용한다. 사이성 형식을 매개로 칸 트의 주요 개념들이 임의적 간극을 형성하는 가운데 ‘공존’에 관한 규정문제가 앎의 인식 론적 지평에서 재고되고 숙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칸트의 사이와 공존’을 불일치 개념들의 사이성 속에서 논한다. 칸트의 주요 철학 개념들 간에 환치될 수 없는 규정들의 경계들을 찾아, 그 사이에 ‘공 존’의 의미를 체계론적으로 재사유한다. 첫 번째로 다룰 개념들은 칸트의 1770년 『교수 취임논문』에서의 ‘감성계’와 ‘지성계’의 사이성이다. 이 두 규정항들의 불일치하는 지점들 을 분석하여, 양자의 벌어진 거리 속에 공존의 가능 조건들을 반성한다. 다음으로 칸트의 ‘형이상학’과 ‘순수이성’ 간의 사이성과 공존에 관해 논구한다. 『순수이성비판』을 토대로 두 규정항들의 간극을 분석하고, 그 불일치의 사이에서 공동체 앎에 관한 인식론적 의미를 반추한다. 마지막은 ‘선험철학’과 ‘아프리오리’의 불일치와 공존이다. 마찬가지로 『순수이 성비판』에 기반하여 양자의 사이성을 고찰하고 공존의 현대적 의미를 재확립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Form as Between as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In short, the form as betweenness is a condition for thinking that can organically reflect on the co-existing relationship of determinations. Form as In-between is applied as a ‘recognition principle’ in that it can reflect on the distance of determination-relationships in a unified manner. In the midst of Kant’s different conceptual terms forming an arbitrary relationship through the form of betweenness, the determination problem of co-existence can be reconsidered and epistemologically considered on the horizon of knowledge.
    In concreto, this study discusses Kant’s ‘between and co-existence’ in the be opened in-between space of in-consistent concepts. The first concepts to be addressed are the betweenseness of the sensible and the intelligible world in Kant’s Inaugural Dissertation of 1770. Finding the boundaries of determinations that cannot be exchanged between Kant’s major philosophical concepts, this study systematically rethinks the meaning of co-existence between them. By analyzing the inconsistent points of these two conceptual terms, it reflects on co-existence possibility conditions in the open between them. Next, this study discusses the betweenseness and co-existence of Kant’s ‘metaphysics’ and ‘pure reason.’ Based on Critique of Pure Reason, it analyzes th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nceptual terms and reflects on the epistemological meaning of community knowledge in their discrepancies. The last is the inconsistency and co-existence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a priori.’ Likewise, based on Critique of Pure Reason, this study examines the betweenseness of the both and reestablishes the modern meaning of co-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