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주임씨 대종가의 불천위제례와 제례음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lcheonwi ritual and the ritual food of Naju-Lim-name major-jong-g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6
37P 미리보기
나주임씨 대종가의 불천위제례와 제례음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65호 / 87 ~ 123페이지
    · 저자명 : 서해숙

    초록

    본 연구는 전남 나주시에 위치한 나주임씨 대종가에서 과거 이래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모시고 있는 ‘임평 불천위제례’를 중심으로 제례의 전승양상 그리고 제례음식의 진설과 특징을 상세히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적 의미와 변화를 탐색하였다.
    현재 24대 가계를 이어오고 있는 나주임씨 대종가에서는 귀래정 임붕이 ‘영세불천(永世不遷)의 주(主)로 삼아서 그 거룩한 업적을 길이 잊지 말도록 하라’는 <장묘우문(莊廟宇文)>을 유지를 받들어 오늘에 이르도록 임평 기일(忌日)인 음력 12월 5일에 배위(配位) 언양김씨와 함께 부조묘 사당에서 제를 모시고 있다. 불천위제례는 대개‘국불천위’를 말하지만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지역 유림들의 공의를 거쳐서 부조(不祧)를 인정받거나 문중 차원에서 공의를 거쳐 결정되기도 하는데, 호남지역에서는 나주임씨 대종가의 임평 불천위제례를 통해 이미 16세기 중반에 문중 차원의 공의를 거쳐 이러한 제례가 이미 이루어졌고, 가통(家統)에 따라 현재까지 면면히 계승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의를 거행하면서 소소한 변화상을 찾을 수 있겠으나 오늘에 이르기까지 466년 동안 한 종가에서 제례의 역사와 전통이 이렇게 분명하게 명시된 채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하였다. 한편 불천위제례에 올리는 제물은 총 6열 45가지를 진설하는데, 우동좌서(右東左西), 이서위상(以西爲上), 어동육서(魚東肉西), 좌포우혜(左脯右醯) 방식을 여느 제례와 마찬가지로 기본으로 따르면서도 ‘동두서미(東頭西尾)’가 아닌 ‘두서미동(頭西尾東)’ 방식과 ‘조율이시(棗栗梨枾)’가 아닌 ‘조동율서(棗東栗西)’의 방식을 따르고 있는 특징적인 면모를 확인하였다. 또한 제례음식은 호남지역 여느 종가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제물들을 진설하고 있는데, 도적, 편, 탕, 7갈납, 차(茶), 멧진지상, 밥식혜, 면 등을 특이 제물로 보고서 여느 지역과 비교 검토를 통해 나주임씨 대종가만의 제의적 전통과 문화적 의미 그리고 제물에 투영된 인식의 단면 등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s and rituals of rituals in detail, focusing on the “Limpyeong Bungcheonwi rite” held in the Naju Lim’s major jong-ga, and explored regional cultural meanings and changes based on them.
    The Naju Lim’s major jong-ga is currently in his 24th generation, and according to the meaning of Lim-Bung and Descendantsis holding the Lim-pyeong Bungcheonwi rit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is ritual has already been done through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rituals have been passed down from 466 years at a close price.
    On the other hand, the offerings to the Rite Food are displayed in a total of 6 columns and 45 kinds. It is characterized by following the method of ‘Head to the west and Tail to the east’ and ‘The jujube is in the east and The chestnut is w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ble to produce Dojeog, Pyeon, tangs, 7galnab, tea, medejinji, rice sikhye, and cotton which can not be found in any other side of Honam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