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다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짓가림 관행의 지속과 확산 (Jitgarim (Profit Sharing) Practice to Respond to the Uncertainties of the S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4
37P 미리보기
바다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짓가림 관행의 지속과 확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7호 / 331 ~ 367페이지
    · 저자명 : 송기태

    초록

    바다를 매개로 한 삶은 언제나 위험을 감수하고 불확실성과 마주해야만 하는 것으로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농경의 인과론적 세계와 거리를 두고 있음을 전제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바다의 불확실성에 적응해온 기제로서 어업의 짓가림 관행에 대해 살펴보고, 20세기 이후 마을어장에 급속히 이입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을 주목하였다.
    짓가림은 어업에서 어획량에 대한 개인의 몫으로서 ‘짓’을 구분하고 분배하는 임금제를 지칭한다. 짓가림은 어렵(漁獵)을 주로 하는 어업에서 특징적으로 행해져 왔고, 현재까지 유효한 방식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어선어업의 짓가림제에서 ‘짓’은 생산수단이자 자본인 배의 몫과, 노동자인 선원들의 몫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 선원들의 몫은 선장과 차등을 두는데, 그 기저에는 바다 지식과 노하우에 대한 가치평가가 담겨 있다.
    짓가림제는 해조류 채취공동체에서도 확인되는데,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고 어촌공동체의 다양한 운영방식 중 하나로 존재한다. 주된 특징은 공동점유와 공동채취에 기반을 둔 공동체에서만 나타나는 점이다. 공동으로 점유한 해안에서 함께 해조류를 채취하고, 노동에 참가한 개개인의 짓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때의 짓가림에는 ‘해조류의 생육과 관리에 대한 보상’이라는 가치평가가 개입되어 있다. 어렵(漁獵)은 물고기의 성장과정을 모른 채 포획만 하지만, 해조류는 자연산이라 할지라도 경작하듯 인간의 손길이 가해지기 때문에 성장 과정에 투여하는 노동의 짓이 담겨있는 것이다. 그리고 마을어장의 짓가림은 바다를 공유하는 개인의 지분이라는 성격도 지니고 있다. 해조류 채취구역을 공유자원으로 규정하고 개인의 지분을 권리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짓가림 관행은 20세기 이후 마을어장 전반에 도입되어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으로 파악된다. 한반도의 어민들은 마을어장을 해조류 채취구역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해녀가 진출하면서 나잠어장도 마을어업의 구역으로 편입하고 그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한다. 특히 1960년대 어촌계가 성립한 후에는 나잠어장에 대한 권리가 완벽하게 어민의 것으로 정착한다. 어민은 잠수를 못하면서 어장의 권리를 획득하고, 해녀는 잠수를 하지만 권리는 없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어촌공동체와 해녀는 총생산량을 나누는 짓가림제를 도입하고, 현재까지 어장의 두 주체로서 공존하고 있다.

    영어초록

    A life that depends on the sea for a livelihood has to take risks and face uncertain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mise of agriculture that ‘If you plant beans, you will get beans, if you plant red beans, you will get red beans.’ This paper discusses the practice of Jitgarim (profit sharing) of fishery as a system for people to adapt to the uncertainties of the sea, and takes note of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its rapid introduction to village fishing grounds since the twentieth century.
    Jitgarim refers to a wage system that divides and distributes ‘jit’, an individual share of the catch in the fishery. As a unique practice in the Korean fishery, Jitgarim is still effective today. In the Jitgarim system of fishing vessel fishery, ‘jit’ is divided into the share of the boat, which is a means of production and capital, and the share of the crew, who are workers. The share of the crew member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captain, which reflects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nd know-how of the captain about the sea.
    The Jitgarim system is also found in seaweed harvesting communities, but it is not a common practice but exists as one of many ways of seaweed harvesting practices. Its main feature is that it appears only in communities based on co-occupying and co-harvesting. It is used as a way to collect seaweed together on a jointly occupied shore and to divide the jit of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labor. In this case, Jitgarim involves a value evaluation of ‘compensation for the cultivation and management of seaweed’. Fishery refers to only catching fish without knowing the growing process of fish, but in the case of seaweed, manual labor is needed to cultivate it even if it is wild, so the effort for the growth process is included in jit. And Jitgarim in the village fishing ground also has the character of individual share of the sea. This is because the seaweed collection area is defined as a shared resource as a village fishing area and individual shares are recognized as rights.
    The traditional Jitgarim practice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and widespread throughout the village fishing grounds since the twentieth century. Fishermen on the Korean Peninsula had a strong tendency to think of village fishing grounds as areas for collecting seaweed, but with the arrival of haenyeo (female divers), underwater fishing grounds were incorporated into village fishing areas and they began to claim their rights. In particular, after the establishment of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in the 1960s, the rights to underwater fishing grounds were completely settled as belonging to fishermen. As a result, fishermen obtained the right to the fishing grounds without being able to dive, and haenyeo did not have the right to the place even though they were diving. Accordingly, fishing village communities and the haenyeo introduced the Jitgarim system in which they shared the total output, and until now they coexist as two main participants in the fishing ground. As the situation of underwater fishing grounds developed in this way, jit (profit) generated without cost became an important means of building the material foundation of the fishing community. The health of the fishing village depends on how the value is uti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