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과 인간의 (불)협화음 관계: SF 영화〈그녀〉를 중심으로 (The (un)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AI and human: An analysis of the SF-film H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6
23P 미리보기
인공지능과 인간의 (불)협화음 관계: SF 영화〈그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16호 / 243 ~ 265페이지
    · 저자명 : 김연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스파이크 존즈의 SF영화〈그녀〉(2013)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적인 관계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스스로 진화하는, 신체 없는 정신적 슈퍼인공지능인 서맨사와 인간 시어도어의 독특한 관계를 통해 미래사회와 그 속에서 변화하는 인간이해를 조명한다. 이 글에서는 포스트휴머니즘이나 트랜스휴머니즘의 담론보다는 이 SF 영화가 제시하는 미래사회의 모습과 그 속에서 인간, 인간의 이해는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때 고전적 휴머니즘, 특히 신체(감각)와 감정의 분리불가능성을 기반으로 하는 헤르더의 인간감정론(“나는 느낀다! 나는 존재한다!”)을 배경지식으로 염두에 둔다. 즉 전통적인 ‘인간’의 이해가 슈퍼인공지능이 출현하는 특이점의 시대에는 어떻게 변모할 것인가를 이 영화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이때 이 영화에서 가까운 미래사회로 설정된 사회적 풍경, 특히 매체의 발달로 인간의 감정이 감정의 주체와 분리되어 상품화되는 사회적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슈퍼인공지능과 인간의 사적 관계를 가능하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초연결운영체계를 ‘서맨사’라는 여성적인 인격체로 의인화하는 데는 디지털 판타지에 대한 인간의 공모가 전제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로써 외로운 현대인들이 슈퍼인공지능의 마음 챙김에서 심리적 안정을 찾으며 의존하지만, 더 이상 나누어질 수 없는 단위로서의 ‘개인’이라는 개념 및 인간 육체의 감각에 대한 개념들의 변화 및 해체를 수반할 수도 있음을 살펴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for a privat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Spike Jonze’s SF-film Her(2013). Rather than illuminat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volving, disembodied, mental super-AI Samantha and the human Theodore in the discursive context of posthumanism or transhumanism, I aim to focus on what kind of society the future is depicted in this SF-film, and how human beings and human self-understanding might change within such a society. In doing so, classical humanism, especially Herder’s theory of human emotions(“I feel! I am!”), which is based on the inseparability of body(sense) and emotions, will be helpful as a background for the discussion. In other words, I read into the film how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ill be transformed in the era of singularity when super-AI emerges. And I analyze the social landscape set in a near-future society, especially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ere human emotions are commoditized and seperated from the subject of emotions due to the advancement of media. This social landscape not only enables the possibility of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super-AI and human, but also reveals that the anthropomorphism of AI or the personification of the super-networked operating system as a feminie personality named ‘Samantha’ presupposes human collusion in the digital fantasy. It shows that lonely modern people rely on the mindfulness of super-AI for psychological stability, but it may also entail a shift and deconstruction of the notion of the ‘individual’ as a unit that can no longer be divided, and of the sensatons of the human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