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공정 피로사회, 비상식 투명사회의 폭력구조 - <오징어 게임>, <지옥>론- (The Structure of Violence in an Unfair Society of Fatigue and a Transparent Society without Sense - , Theory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4
31P 미리보기
불공정 피로사회, 비상식 투명사회의 폭력구조 - &lt;오징어 게임&gt;, &lt;지옥&gt;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24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안숭범

    초록

    팬데믹을 통과하면서 OTT 시리즈물에 대한 수용문화는 질적․ 양적으로 비약적인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과 <지옥>은 2021년 가장 높은 주목을받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낙오와 배제의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절망적 현실을 묘사한다. 본고는 그들 작품 안에 가시화된 공동체의 위기가‘공정’, ‘상식’, ‘정의’에 관한 해석적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먼저 <오징어 게임>의 여섯 가지 놀이는 ‘죽음’과 ‘죽임’ 사이에 존재하는 시스템을 성찰하게 한다. 과잉활동을 낳는 경쟁 구조 안에 존재하는 시스템의 폭력,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폭력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경쟁의 구조를 거시적으로 확장해서 보면 ‘지배없는 착취’를 보편화시키는 신자유주의 사회의 연결망까지 확인할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징어 게임>은 낙오와 배제를 경험한 성과주체들이 공정하다고 믿어지는 경쟁 시스템에 스스로 갇히면서 벌어지는 비극을 다룬다. <오징어게임>은 자기 자신을 착취하면서 그와 동시에 타인을 착취하는 피로사회의 문제성을 고발한다.
    <지옥>은 개인에 대한 집단의 비상식적 폭력이 정당화되는 과정을 극단적으로전시한다. 천사의 고지와 지옥의 사자들이 행하는 시연은 신에 대한 믿음에 기반한공포정치를 가능케 한다. 신의 인간을 향한 폭력의 문제가 의심되지 않음으로써, 인간의 인간에 대한 낙인 과정의 폭력성도 쟁점화되지 않는다. 해석권력으로서 새진리회와 대중여론을 호도하는 화살촉은 피로사회가 투명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을보여준다. 대중의 맹목적 믿음 위에서 권력을 쥔 그들의 부족 정치는, <지옥>이 고발하고 있는 사회적 비상식을 선명하게 환기시킨다.
    두 작품의 서사는 각기 구별되는 방식과 경로로 다른 성격의 사회 정의를 겨냥한다. 아직 핵심적인 사안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되지 않았고, 갈등 해결의 실마리도제시되지 않았다. 그래서 시즌 2는 공정, 상식, 정의에 관한 입장이 더 구체화 될 것이다.

    영어초록

    As the pandemic passes, the culture of accepting OTT series is rapidly expanding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quid Game> and <Hell> are the Netflix original series that received the most attention in 2021, depicting the desperate reality of Korean society in which the mechanism of failure and exclusion is at work.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risis of the community visualized in their works reflects the interpretive stance on ‘fairness’, ‘common sense’ and ‘justice’.
    First, the six games of <Squid Game> make you reflect on the system that exists between ‘death’ and ‘killing’. The reality of violence in the system and violence existing in the system can be identified within the structure of competition that results in excessive actions.
    If we look at the macroscopic expansion of the structure of competition, we can even see the network of neoliberal society that universalizes ‘exploitation without domination’.
    As a result, <Squid Game> deals with the tragedy that occurs when performance subjects who have experienced setbacks and exclusion are trapped in a competitive system that is believed to be fair. <Squid Game> charges the problem of fatigue society that exploits oneself and at the same time exploits others.
    <Hell> displays the process of justifying the group’s irrational violence against the individual in an extreme way. The angel’s notice and demonstrations by the lions of hell enable fear politics based on faith in God. As the problem of God’s violence against humans is not questioned, the violence of the human stigma process against humans is not brought into issue. The arrowhead that mislead the new truth society and public opinion as the power of interpretation shows the process of fatigue society moving toward a transparent society.
    Their tribal politics, which came to power based on the blind faith of the masses, vividly evoke the social absurdity that <Hell> is accusing.
    The narratives of the two works aim at different types of social justice in distinct ways and paths. Doubts on key issues have not yet been resolved, and no clue has been presented to resolve the conflict. So in season 2, the issues of fairness, common sense, and justice will be further embod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