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과부재가금지’에 따른 부부 연차(年差)의 불균형 (Legal Sanctions Against Women’s Remarri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hanges in Wedding Cul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6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과부재가금지’에 따른 부부 연차(年差)의 불균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0호 / 51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연수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혼가(婚嫁)관련 법령인 ‘과부재가금지’가 조선사람들과 조선사회의 혼례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하는 논문이다. 과부재가금지와 관련한 법령은 1485년(성종16) 『경국대전』의 개정 판본부터 ‘재가녀의 아들 및 손자는 생원·진사시에 응시하지 못한다’고 하여 본격적으로 법적 제재를 가하기 시작하였다. 법이 시행되고 16세기까지는 족보에도 두 번째 남편이라는 뜻의 ‘후부(後夫)’ 기록이 보이지만 이후 이 마저도 삭제되었다. 조선후기에는 재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대변하듯 관련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물론 더 많은 사료의 검토가 필요하겠지만 일기와 고문서 등의 자료에서도 사례를 찾기가 어려운 것은 그만큼 여성의 재혼이 기피 현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그 대신 눈에 띄는 점은 재혼한 남성과 혼인한 여성들의 연차였다.
    경상도 선산의 안강노씨 노상추가와 충청도 회덕의 은진송씨 송준길가, 경기도 용인의 해주오씨 오희문가의 사례에서도 재가(再嫁)의 기록이 보이지 않았다. 이들 가문 남성들의 초취와 재취일 때 부인과의 연차(年差)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초혼의 경우는 부부 나이차가 평균 0~2세로 적게 나는 반면, 재혼의 경우 20-30세 까지도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바로 과부재가금지의 영향으로 인한 부부 연차 불균형의 한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조차 실행되지 못했던 ‘과부재가금지’와 관련한 법령은 조선 사회에 효력을 발휘하여 재혼하는 남자는 아직 결혼하지 않은 여성을 찾아야 했고, 과부가 된 여성은 평생 정절을 강요받는 등 기형적인 모습을 생산하였다.
    영조가 66세에 18세 정순왕후를 왕비로 맞이하고, 50대 사대부가 20대 젊은 처자를 후처로 들이는데는 바로 이와 같은 조선시대의 이해를 통해 가능하며, 그런 의미에서 본고는 하나의 문화현상을 보다 깊이 해석하기 위해서는 법, 제도, 의례, 사회, 생활 등의 다양한 요소가 반영됨을 살필 수 있게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women’s remarriage sanction on the wedding culture and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The legal imposition started since 1485 with the revised version of Gyeongguk Daejeon stating that “Sons and grandsons of a remarried woman shall not be allowed to take the state examination”. The word “Hubu(後夫, second husband)” had been recorded in the genealogy until the 16th century, but then it disappeared from any records.
    Since then, no records of remarriage were found in various family trees. In addition, first married couples appear to have 0-2 years of age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remarried couples have 20-30 years of age gaps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men in those family trees.. This is one example of imbalance appeared in wedding culture at that time due to the women’s remarriage sanction. In pursuit of the Confucian Neo-Confucianism which was not dare to be practiced even in China, individuals and society of Joseon Dynasty were forced to follow irrationality within unreasonable cultural phenomenon for five centur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made it clear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law, institution, ritual, society and life ar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cultural phenomenon in dep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