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교학과 원불교의 법신불사상과 그 실천적 특징 (A Comparative Study on Dharmakāya-Buddha and its practical characteristic in the Hwaeom School and Won-Buddh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4.12
32P 미리보기
화엄교학과 원불교의 법신불사상과 그 실천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62호 / 59 ~ 90페이지
    · 저자명 : 장진영

    초록

    본고에서는 화엄교학과 원불교를 법신불사상과 그 실천적 특징을 중심으로비교한 것이다. 석가모니불이 정각을 이루었을 때, 법신불과 만나 일체가 되면서 불(佛)은 법(法)이 되고, 법은 불이 되었다. 법신불이 신앙과 수행 등 실천의구심이 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부처를 모시고 따를 수 있게 되어 실천의 폭이훨씬 넓어지게 되었다.
    법신불사상은 대승불교의 주요사상으로 특히 법신불이 주불인 『화엄경』의등장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화엄교학은 지엄(智儼)에 의해 체계화된 것으로의상(義相, 625~702)이 이를 계승 발전시켜 한국화엄의 실천적 전승이 이루어졌다. 의상은 『일승법계도』에서 ‘법성(法性)’을 중심으로 법신사상을 전개하였으며, 이는 ‘구래불(舊來佛)’과 『화엄경문답』의 ‘자체불(自體佛)’을 통해 실천적으로 계승되었다. 의상은 법신을 단지 신앙의 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수증과 성불 및 교화의 측면까지 적용함으로써 자리와 이타, 능화(能化)와 소화(所化)를 일치시키는 실천적 진전을 보였다.
    소태산(少太山 朴重彬, 1891~1943)에 의해 개창된 원불교는 법신불인 ‘일원상(一圓相, ◯)’을 구심으로 모든 신앙의 대상과 모든 수행의 방법을 통일시킴으로써 타력신앙과 자력수행의 양면을 균형 있게 제시하고 있다. 대타의 측면에서는 ‘처처불(處處佛)’ 신앙을 인과보응의 이치에 따른 사실적인 불공법으로연결시키고 있으며, 대자의 측면에서는 ‘자성불(自性佛)’에 근거하여 삼학병진(三學竝進)의 공부법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화엄교학(특히 의상화엄)과 원불교에 있어서 법신불사상의 형성과 실천적전개과정을 통해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법신사상을 통해 모든사상을 통합하고 있다는 점, 둘째 법신사상을 통해 자력과 타력의 양면을 조화혹은 일치시키고 있다는 점, 셋째 법신사상에 근거한 구체적인 실천원리와 마음공부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에서 법신불사상은 석가모니불의 정각에서 비롯한 진리의 부처로서 대승불교 이후 모든 실천의 구심이 되었고, 한국화엄과 원불교를 통해 법신불사상의 실천적 의미가 크게 살아나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the thought of Dharmakāya Buddha as it isrepresented in both the Hwaeom (華嚴, C. Huayan) school and Won-Buddhism (圓佛敎), especially examining its practical aspects.
    Dharmakāya is defined as the body of truth and signifies the truth itself. WhenSakyamuni Buddha awakened to the ultimate truth, it is said he synchronized withDharmakāya-Buddha. At this time, Buddha became dharma, and dharma becameBuddha. With the appearance of Dharmakāya Buddha, we can enshrine Buddhaand keep the truth in every place and present at every time, thus broadening thescale of practice. The emergence of Dharmakāya Buddha allows adherents tobelieve in Buddha and practice like Buddha in a new dimension.
    Dharmakāya Buddha is considered one of the main thoughts in MahayanaBuddhism. This thought became widespread owing to the Flower Garland Sutra.
    Uisang (義相, 625-702) upgraded Korean Hwaeom by succeeding the teaching ofthe Hwaeom school which was systematized by Zhiyan (智儼). Uisang developedthe thought of Dharmakāya Buddha based on Dharma Nature (法性) in theIlseungbeopgyedo (Chart of the Dharma-World of the One Vehicle).
    His description of Dharmakāya Buddha appeared in the ‘Buddha Originatedfrom Past’ (舊來佛) and ‘Self Noumenon Buddha’ (自體佛) in the Hwaeomgyeong-mundap (Catechism about the Flower Garland Sutra). His interpretation shows apractical advance with concepts such as self-benefit and others-benefit, theenlightening and the enlightened.
    Sotaesan (1891~1943, Jung-Bin Park), the founder of Won-Buddhism proposesfaith and practice and unifies all objects of faith and all ways of practice withIl-Won-Sang (◯) or One Circle Image. To represent ‘other-power’ he relates faithwith the motto ‘Everywhere a Buddha’ (處處佛), which means making realisticBuddha offer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effect. On the side of ‘self-power,’ he connects ‘Self Nature Buddha’ (自性佛)’ withthe practical way of The Threefold Study.
    This study elucidates several features on the thought of Dharmakāya Buddhadeveloped in both the Hwaeom School and Won-Buddhism. The first isincorporating all teachings of truth and objects of faith based on the thought ofDharmakāya Buddha. The second is corresponding self-power with other-power.
    The third is proposing concrete principles and realistic methods of mind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