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진건 소설과 『개벽』이라는 미디어 ― 「운수조흔날」, 「불」을 중심으로 (Hyun jin-Geon's Novels and theMedia Called ― Focused on and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0.06
34P 미리보기
현진건 소설과 『개벽』이라는 미디어 ― 「운수조흔날」, 「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0호 / 359 ~ 392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수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진건의 소설 「운수조흔날」, 「불」 등을 『개벽』이라는 미디어, 또 같은 시기에 발표된 소설들과의 관계 속에서 조명해 그 정당한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현진건은 『동명』, 『시대일보』 등에서 일했는데, 『동명』이 종간되고 『시대일보』가 창간되는 데는 10개월의 시간적 간극이 존재했다. 기자로 근무하면서 『동명』, 『시대일보』에 발표한 작품은 드물었는데, 당시 현진건의 주된 발표 지면은 『개벽』이었다. 단편의 게재를 선호했던 잡지 미디어에 1923년 2월부터 10월까지 9회에 걸쳐 「지새는안개」를 연재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한 편의 소설로 볼 때 「지새는안개」는 서사적 균열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는데, 치국의 등장과 ‘반도일보사’를 다룬 부분이 그것이다. 현진건은 그것을 감수하면서 소설에 당시 잡지 미디어의 중심에 위치했던 『개벽』의 지향을 담으려 했다. 1924년 중반부터 『개벽』 문예면은 프로문학의 미디어적 기반으로 역할하면서 거기에 어울리는 필진을 정립하려 했다. 「운수조흔날」의 김 첨지 가족이나 「불」의 순이의 삶에는 고단함이 묻어나지만, 소설에서의 비극은 그것을 주된 원인으로 하지 않는다. 김 첨지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을 운수에 기대어 헤아리는 인물로 그려지며, 순이의 절박한 고통은 가난이나 고된 시집살이보다는 남편과의 성관계 때문이다. 현진건이 「운수조흔날」과 「불」에서 김 첨지, 순이 등을 등장한 것이 초기작에서 ‘나’를 끌어들인 데자뷰같이 느껴지는 이유 역시 거기에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ied to reveal the legitimate meanings of Hyun Jin-geon's novels <Lucky Day> and <Fire> an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vel and the media called <Gae-byeok>, and Hyun Jin-geon's novels published at the same time. Hyun Jin-geon worked for <Dong- Myeong>, <Sidae-ilbo>, but it took 10 months for <Dong- Myeong> to end and <Sidae-ilbo> was published. While working as a reporter, there were rare works published in <Dong-Myeong> and <Sidae-ilbo>, but at the time Hyun Jin-geon's announcement was <Gae-byeok>. The magazine media preferred to publish short stories, but it was unusual for the series to be published in 9 episodes from February to October 1923. In a novel, <The spend Fog> has a problem of epic crack.
    Hyun Jin-geon attempted to incorporate <Gae-byeok>'s intention in the novel while taking cracks. <Gae-byeok> has been the media base of proletariat literature since the middle of 1924. In <Lucky Day> and <Fire>, the character's hard life appears. But hard life is not the main reason of the tragedy of the novel. Old Kim is a person who relied on luck for everything, and Soon-yi suffered from sexual relations with her husband. The appearance of Old Kim and Soon-yi feels like déjàvu of the appearance of 'I' in the early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