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대, 계급, 위계: 386 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Generation, Class, and Hierarchy: 386-Generation in Power and Increase in Inequalit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2
48P 미리보기
세대, 계급, 위계: 386 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3권 / 1호 / 1 ~ 48페이지
    · 저자명 : 이철승

    초록

    본 연구는 1987년 이후, 386 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온 한국 사회의 정치권력과 부의 불평등한 축적 과정을 ‘한국형 위계체제의 구조화/제도화’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이 글은 386 세대가 ‘권위주의적 발전주의 국가’에 대항하여 시민사회로부터 국가를 점유해 가는 ‘점유의 정치’(politics of occupation)에 주목한다. 둘째, 이 글은 세계화와 함께 격화되는 시장경쟁에 대처하기 위해 자본의 주도로 기업조직과 노동시장에 수립된 ‘위계 체제’와 그 체제 하에서 최대 수혜를 입은 386 세대의 ‘기업 내 권력’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과정을 통해 한 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더 내적으로 응집된 ‘세대의 권력자원’을 시민사회, 시장, 국가를 가로질러 수립하였고, 이로 인해 세대 간 불평등이 증대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386 세대가 공식 시민사회조직과 국가의 선출 권력직에서 여타 세대를 압도하는 권력자원을 축적했음을 자체 수집 ‧ 가공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한다. 또한, 386 세대는 기업조직의 최상층 리더쉽과 상층 노동시장의 자리들 또한 불균등하게 점유함으로써 시장에서도 ‘세대 권력’을 구축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국가, 시장, 시민사회를 가로지르는 386 세대 네트워크의 권력자원화는, 결국, 386 세대의 더 긴 근속년수, 더 높은 소득 상승률과 더 오랜 최고소득 점유를 통해 청년 및 노인 세대와의 세대 간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필자는 386 세대의 등장과 함께 구조화된 한국사회의 지배‧ 관리‧ 수취 체제를 ‘네트워크 위계’라는 개념을 통해 이론화하고, ‘세대 간 형평성의 정치’를 촉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dentifies an accumulating process of power and wealth led by the ‘386-generation, so-called the generation of democratization’(D-generation, hereafter) as a process of structu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Korean-style hierarchy system.’ For this identification, first of all, this article highlights D-generation’s work of the ‘politics of occupation’ by gradually occupying the state from being the leaders of the civil society. Second, this article underscores the ‘hierarchy system’ established in the labor market and the firm organization by capital to confront the market competition, intensified withglobalization, as well as the ‘power within the company’ from D-generation, who has been the beneficiary of the system. Through these two processes, the D-generation was able to establish more internally cohesive ‘generational power resources’ across the state, civil society, and the market. To test these arguments, the study shows - through analyzing original data sources and various survey data - that the D-generation has accumulated more social and political capital than other generations in civil and political society. In the labor market, the generation has succeeded in advancing to top-tier leader’s positions in the firms, and occupied the majority in the upper-class labor market status. In tur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uch cohesive generational networks led to longer duration of members of the generation in firms and higher rates of income increases, which exacerbates excessively competitive job market situations for younger genera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a theorization of the concept, ‘network hierarchy’, making a request for the politics ofinter-generational equ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