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불∙도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의 의의 (The Meaning of Daesoon Thoughts on the Basis of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9.08
27P 미리보기
유∙불∙도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대순사상논총 / 20권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황준연

    초록

    증산 강일순의 사상을 ‘대순(大巡)의 철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대순’이란 크게 순수한다는 뜻이다. 세상을 크게 돌아봄으로써 억조창생의 생활을 둘러본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증산 사상의 이면에는 전통적인 유교, 불교, 도교의 3교 사상이 내재되어 있다. 증산이 읽은 대표적인 유교 경전은『사략史略』,『통감通鑑』을 위시한 4서 3경이다. 그 가운데『주역周易』은 비중있게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조선왕조 말기 유교 윤리의 상당 부분이 시효가 다하였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증산의 불교적 영향은 교리보다는 수행 방면에 비중이 있다. 그리고 그의 관심은 조선조 중기의 도승(道僧) 진묵(震黙)에게 집중되어 있다. 그는 진묵이 수행하였던 곳에서 수행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증산은 ‘도가적’ 혹은 ‘도교적’ 영향을 받았다. 그의 행적을 보면 그는 본질적으로 도교적(道敎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여러 차례 ‘무위이화’(無爲而化)를 언급하고 있다. 그의 <천지공사天地公事>는 근본적으로 도교적 방법에 무(巫)의 성격이 더해져 있다.
    증산은 스스로 하늘의 상제(上帝)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도술을 펼치는 일로써 자신의 업무를 삼고 있다. 그는 대법국(大法國) 천계탑(天啓塔)에 내려와 천하를 대순하였다는 것은 범지구적 차원의 관찰이다. 이렇게 증산의 대순사상은 한반도를 넘어서서 지구적 차원으로 진화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동시에 한국인 본위(本位)의 세계관으로 일관하였다. 이와 같은 국지성(局地性)을 극복하는 길이 향후의 과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Kang Jeung-san whose real name is Kang Il-soon was a Korean born thinker who thought himself as Shangti(上帝). It is told that he made a Great Tour(大巡) upon this world. His thought was affected by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e founded a religious body, called Jeung-san-Gyo which could be formed a syncretism of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We have to survey Asian traditional thoughts in order to understand Kang Jeung-san's religious thinking. According to the Great Tour Scripture(大巡典經), he have read Confucian moral books, holy Sutra of Buddha and the books of Daoism.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he stressed upon the Book of Changes (Zou-yi; 周易). And for Buddhism, he showed great concern on a monk, Jin-mook(震黙) who lived 15th century in Chosun Dynasty.
    Jeung-san Shangti followed Daoistic way when he performed religious ritual. In case of performance, he was compared as a great Shaman who wanted to save the world. And the most typical ritual was called public business of Heaven and Earth(天地公事). He showed a great scale while he was touring the world in space.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o overcome the localization which seems still prevailing doctrine of the Jeung-san thought. For this, the followers of Jeung-san-Gyo should study world philosophy and accept the modernity so as to broaden Jeung-san thought to the rest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