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사회에서 소득 불평등에 관한 인식의 격차 (Growing Gap in the Perception of Income Inequality in the American Socie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07
26P 미리보기
미국 사회에서 소득 불평등에 관한 인식의 격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국제지역연구 / 19권 / 2호 / 143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송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인식에서 빈자와 부자 사이에 격차가벌어진다는 가설을 ISSP 1987~2009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했다. ‘소득 격차가 지나치게크다’ 및 ‘미국은 오늘날 어떤 유형의 사회인가’라는 두 개의 지표를 통해 전반적 소득 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한 결과 빈자와 부자 사이에 격차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 사회에서 소득 격차가 지나치게 크며 비교적 불평등한 사회에서 산다는 의견이 부자보다 빈자에게서 더 많다. 그러나 이러한 부자와 빈자 간 인식의 격차가 근래로 오면서 더 크게 벌어진다는 뚜렷한 증거를 찾지는 못하였다.
    한편 보통 사람들의 소득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자신과 남과의 소득과 생활수준의 비교를통해 형성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최고위 직업의 소득에 대한 생각을 비교하였다. 최고위 직업의 소득에 대한 인식에서 빈자와 부자 사이에 큰 격차가 존재하며 이 격차는 근래로 오면서점차 벌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부자는 빈자보다 최고위 직업의 소득을 높게 추정한다. 빈자와 부자 사이에 불평등에 대한 인식의 격차는 최고위 직업의 실제 소득 추정에서는 물론 적절한 수준의 소득에 대한 의견에서도 격차가 존재하는 데, 이 또한 근래로 오면서 더욱 확대되고 있다. 부자는 빈자보다 최고위 직업의 소득 추정에서 집단 내 의견의 일치도가 더 크다.
    그러나 최고층 소득의 정당성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 최고위 직업의 실제 소득 대비‘적정 소득’의 비율을 구하여 비교한 결과, 부자가 빈자보다 이 비율을 더 높게 제시하였다. 즉부자가 빈자보다 최고위 직업의 실제 소득이 적절한 보상 수준에 비해 지나치게 많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근래에 소득 증가가 상층 중에서도 최상위의 소수에게 몰려 있으므로 부유한 사람들조차 소득불평등 확대에 대해 불만 내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결과로 해석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tests a hypothesis that as income inequality grows, gap in perception of inequality is widened. The ISSP dataset of 1987 through 2009 are used for the analysis. Two indicators, “Income gap in the US is so large” and “What type of society is the United States today?” measures the perception of overall income inequality. I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 gap in such perceptions. More of the poor think relative to the rich that income gap in the US is so large and that the American society is very unequal. However a firm evidence was not found that the perception gap grows larger over the period.
    Since people often form a conception of inequality by comparing themselves to the income and living standard of rich or poor people, I surveyed how they think about the incomes of three highest status jobs; cabinet minister, CEO and physician. I found that there exist a large gap between the poor and the rich in the estimated incomes of the highest status jobs, and that such gap grows wider over the period. The rich estimate the incomes of those jobs much higher than do the poor. Such gap in the estimation grows not only in absolute amount but also in what they think to be appropriate level of income. Besides, the rich are getting more coherent in such estimation among themselves than are the poor. However, the rich do not give as much legitimacy to the exorbitantly high incomes of the highest status jobs as do the poor. The rich are more likely to think relative to the poor that the high incomes of the highest status jobs are too much. It suggests that when income growth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highest small among the rich recent years, the rich themselves would feel bad or relatively deprived toward those super rich and the reality of growing in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