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천위 제례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역할 (Sociocultural Meanings and Roles of Bulchunwee Ritu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6.08
28P 미리보기
불천위 제례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30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이 논문에서는 불천위 제례와 종가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불천위로 추대된 인물과 그를 위한 불천위 제례가 종가의 형성 및 유지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종가의 자격요건은 크게 혈통적 요소와 사회문화적 요소로 대별된다. 혈통적 요소란 불천위로 추대받은 파시조 이래 장자 계열로 내려온 것을 말하고, 사회문화적 요소는 파시조를 중심으로 구축해온 독자적인 문화적 전통을 일컫는다. 이런 점에서 불천위는 종가의 형성과 유지에 주요 자격요건이라 할 수 있다. 2016년에 실시한 집계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불천위 인물은 476명으로, 이중 경북과 대구가 196명(41%)을 차지하고 있다. 주목되는 점은 476명 가운데 절반가량이 1500년~1600년 사이에 생존했다는 사실이다. 16세기는 중국에서 도입된 성리학이 정착하는 시기로, 조선사회에 유학자가 다수 배출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런 경향은 불천위 인물의 대부분이 유학자 출신이라는 점에서도 방증된다. 그리고 전국 불천위 인물의 지역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서울과 경기지역에는 왕족 계통에 속한 인물이 대부분이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유학자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래서인지 서울과 경기지역의 불천위 인물들은 공신과 시호의 보유 현황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가 하면, 유학자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타 지역에서는 청백리, 서원과 사우 제향, 저술활동 등에서 우세를 드러냈다.
    불천위 인물은 청렴을 바탕으로 청백리에 녹훈되고, 자기희생적 태도로 백성을 사랑하고, 효심이 지극하여 효행자로 칭송받는 등 훌륭한 덕성에 의해 지역사회의 사표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삶의 귀감적 인물인 불천위 조상에 대한 제례는 후손들에게 자긍심에 바탕 한 혈통적 동질성을 재확인하고 결속력을 강화하는 주요 계기로 작용한다. 즉, 후손들은 일정한 시공간을 공유하면서 일정한 의식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제사공동체를 구성하고, 제물 준비에서 제사 儀式에 이르기까지 모든 절차를 협력하여 준비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해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야말로 종가(종손)를 중심으로 문중(지손)으로 이어지는 피라미드형 종법적 위계질서를 수립하면서 동시에 강한 응집력을 지닌 혈연공동체 및 제사공동체로 거듭나게 해주는 불천위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lchunwee Rituals and the head family. For this, this paper also explored the persons who were selected as Bulchunwee and its meaning which Bulchunwee Rituals have in forming and maintaining the head family and their role.
    The qualifications of head family are broadly divided into lineage element and sociocultural element. Lineage element refers to the descending to the line of the eldest sons since parties’ ancestors were selected as Bulchunwee. On the other hand, sociocultural element refers to an independent cultural tradition which has been formed with parties’ ancestors as a center. In this point, Bulchunwee is an essential qualification for forming and maintaining the head family. According to an estimate in 2016, the number of people who were selected as Bulchunwee is 476 persons across the nation and 196 persons (49%) of them are from Kyeongbuk and Daegu. The remarkable point is that more than half of the 476 persons survived in the years between 1500 and 1600. The 16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Neo-Confucianism which was brought from Chinasettledandatthesametimealotof ConfucianscholarswereproducedinChosunsocie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features of the people who were selected as Bulchunwee, most people from SeoulandGyeonggiareaswereofroyalbloodwhilethemajorityofrestwereConfucianscholars. So, Bulchunwee people from Seoul and Gyunggi areas show relatively high rate in the possession of meritorious retainers and posthumous epithets, while other areas occupied by Confucian scholars have an edge on incorrupt government employees, Seowon, Sawoo and ritual, and writing activity.
    People of Bulchunwee usually become the role models of communities thanks to their great virtue like being reported as incorrupt government employees based on their integrity, loving people with the attitude of sacrifice and being honored as devoted sons. Like this, rituals for the ancestors of Bulchunwee who were the role models for descendants give them motivations to confirm genetical homogeneity based on their pride and strengthen their coherence. That is, descendants can form community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ceremonies by sharing their space and time. Also they cooperate with others from preparation of rites’ stuffs to ceremonies which make them possible to develop a bond of sympathy. Thus, it may be the power of Bulchunwee that establishes the pyramidal clan hierarchy which leads central head family to one’s distant relatives and makes a strongly coherent blood community or ritual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