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Work Precariousness of Chinese Migrant Worker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08
38P 미리보기
중국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대한 실증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리뷰 / 11권 / 2호 / 149 ~ 186페이지
    · 저자명 : 유우, 이승윤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맥락에서 확대되고 있는 농민공의 노동불안성정을 고용, 임금 및 사회보험 세 가지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불안정노동 특징을 실증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는 먼저 중국 농민공의 형성배경, 특징 및 이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불안정노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중국 맥락에서 고용관계의 불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① 공식부문에서의 무기계약, ② 비공식부문에서의 무기계약, ③ 공식부문에서의 단기계약 등의 비전형계약, ④ 비공식부문에서의 비전형계 약 및 무계약의 4가지로 불안정성의 ‘정도(degree)’를 구분하여 고용불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이어 임금의 불안정성 그리고 사회보험의 배제 측면에서도 농민공의 불안정성을 정도를 구분하여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고용관계, 임금수준 그리고 사 회보험의 측면을 모두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농민공을 불안정노동집단, 다소 불안정노동집단, 다소 안정한 노동집단, 그리 고 안정적인 노동집단으로 나누어 불안정성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중국노동력동태조사 2차(Chinese Labor-force Dynamics Survey, CLDS 2014)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매우 불안정한’ 농민공과 ‘불 안정한’ 농민공은 전체 연구대상의 93.4%를 차지하여 중국 농민공의 노동불안정성의 정도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 다. 또한 농민공의 심각한 불안정노동에는 특히 고용불안정성이 주요 속성으로 드러났는데 90% 이상의 농민공이 도시의 비공식부문에서 비전형계약 및 무계약 형태로 일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보이는 농민공의 다차원적 불안정노동에 대한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국의 제도적 맥락에서 형성된 복잡한 고용형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 여 주며, ‘비정규직’ 또는 ‘비전형노동’만으로는 불안정노동을 설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함의를 준다. 중국 호구제의 경로의존성과 도농이원경제구조의 제도결합과 함께 형성된 농민공의 노동불안정성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중국의 제도 와 불안정노동자확대의 관계에 대한 이후 연구뿐만 아니라 불안정노동의 개념에 대한 일반 논의 확장에 있어서도 함의를 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anding migrant peasants (Nong-Min-Gong) in the special socio-economic context of China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n terms of employment, wage and social insur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ecarious work.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grant peasants and their various instability experiences, and systematically reviewed existing studies on precarious work. Based on this, precarious work is classified into four degrees: very unstable, somewhat unstable, somewhat stable, stable, and unstable labor using data from the Chinese Labor-force Dynamics Survey (CLDS, 2014) and was analyzed in three aspects: employment, wage, and social insu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ose too precarious in all three aspects, that is “very precarious” and “precarious” migrant peasants accounted for 93.4%, revealing that the precariousness of Chinese migrant peasants was very serious. In addition, the fact that precarious employmen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main cause of the serious precarious labor of migrant peasants, which has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on the multidimensional precariousness of the migrant peasants have implications since there is a limit to explaining precarious work only by ‘non-regular workers’ or ‘atypical laborers’ when looking at the employment types in China. The results can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analyze rapi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need to analyze the historical institutional pathways surrounding workers and the combination of institution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other words,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e path dependence of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and the combination of the urban-rural dual structure to form the precarious workers in China, represented by migrant peas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