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한국 중세불교사 연구와 종교개혁 담론 (Studies of the History of Medieval Buddhism and Discourses on Religious Reform in Japan and Kore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12
39P 미리보기
일본·한국 중세불교사 연구와 종교개혁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5호 / 1 ~ 39페이지
    · 저자명 : 조명제

    초록

    일본의 가마쿠라 신불교론과 한국의 신앙결사론은 다른 내용이지만, 종교개혁 담론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오랫동안 중세불교사의 통설로 군림하였다. 신불교론이 1970년대에 현밀체제론으로 대체되었던 것에 반해 신앙결사론은 1970년대 말에 제기되었으며 지금까지 특별한 문제제기가 없다.
    신불교론은 메이지시기에 기독교 선교사와 불교계의 현실인식과 관련하여 출현하였으며, 하라 카츠로가 신불교를 종교개혁과 비교하여 일본중세사 이해의 중요한 지표로 제시하였다. 이후 신불교론은 전후 역사학에서 무사 중심사관, 영주제론과 결합되어 오랫동안 정설이 되었다.
    그러나 구로다 도시오가 1975년에 현밀체제론을 제시함으로써 중세불교사의 이해에 커다란 전환을 가져왔다. 구로다는 구불교(=정통파)가 주류이며, 반면 신불교는 이단․개혁운동(=이단파)이며, 이들이 사회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전국시대라고 하였다. 현밀체제론은 중세 종합사로서의 종교사라는 웅대한 스케일의 이론으로 제시되었고, 신불교론을 대체하였다.
    이후 일본중세불교사 연구는 구로다의 학설을 계승하거나 비판하면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현밀체제론을 대체할 만한 이론과 성과가 뚜렷하게 제시되지 못하였다. 다만, 현밀체제론은 이항대립 도식, 내발적 발전론이라는 한계가 있으며, 동아시아적인 시각이 결여되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학계에서는 1970년대에 사회변혁을 중시하는 분위기에 영향을 받아 신앙결사론이 제기되었다. 신앙결사론은 보수 대 진보, 귀족불교 대 민중불교라는 이항대립적 도식이 선명하며 내용 자체에 논리적 모순과 한계를 갖고 있다. 첫째, 신앙결사를 사회변혁적인 성격으로 보거나 불교계 개혁운동이라고 주장하지만 구체적인 근거가 없으며, 개혁의 실체가 분명하지 않다. 둘째, 수선사, 백련사가 일반 결사와 무엇이 다른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모호하다. 고려시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였던 향도나 일반 결사가 지속적으로 존재하였으며, 이들 결사와 수선사, 백련사는 특별한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셋째, 결사 주도층의 사회적 기반, 결사의 사상적 기반, 신앙결사의 위상과 영향에 대한 설명이 단선적이다. 신앙결사론의 주장처럼 수선사의 위상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할 수 없으며, 선종사 이해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넷째, 결사를 통해 고려후기 불교계의 변화 양상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고려후기에 화엄종이 여전히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의례, 사경, 불화 등을 통해 화엄정토신앙이 모든 계층에서 널리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정치권력과의 관계 문제나 결사의 변질에 대한 이해가 모호하다. 나아가 신앙결사론은 근대주의적 시각과 함께 현재적 관점을 과도하게 적용하여 중세사상사를 재단하였던 한계를 갖고 있다. 결사는 특정 시기와 무관하게 전근대 동아시아불교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었기 때문에 사회변혁운동으로 평가하거나 종교개혁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은 실제 역사상과 거리가 멀다.
    한편, 신불교론과 신앙결사론은 모두 일국사의 틀에서 접근하였고, 종교․사상을 그 자체의 내용과 사상사적 흐름에 따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 사회적 관계에 의해 평가하였던 한계가 있다. 근래 가마쿠라 불교론에 대한 새로운 연구 성과가 나오는 만큼 고려불교사에 대한 연구는 신앙결사론이라는 프레임을 탈피하여 송대 불교의 수용과 전개라는 차원에서 접근하여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theory of New Buddhism in the Kamakura era of Japan and the theory of religious association of Korea is that both are discourses of religious reform and have long been the dominant theories of the history of medieval Buddhism. In the Meiji Era, Christian missionaries and Buddhists compared the New Buddhism with the Reformation of the Western religion. Then in his study of comparative history, Hara Katsuro understood Kamakura Buddhism as a religious reform and proposed it as an important barometer in understanding the medieval history of Japan. Since then the theory of Kamakura New Buddhism has been widely accepted and continued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of the Showa Era. Further, in the postwar historical studies, the theory of Kamakura New Buddhism has become the dominant view as scholars like Ienaga and Inoue combined it with the view of history centered on samurai(武士中心史觀) and the theory of lord system(領主制論) However, there was a great turning point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medieval Buddhism when Kuroda Tosio proposed in the 1960s and 1970s raised the theory of the system of prestige and the theory of the manorial system, and proposed the theory of kenmithu system(顯密體制論) in 1975. With his concepts of orthodoxy, reformism, and heterodoxy, Kuroda argued that Old Buddhism (= orthodoxy) is the mainstream and New Buddhism is a heretical or reformist movement (= heterodoxy).
    Since then, the historical study of Japanese medieval Buddhism has developed in various ways, succeeding or criticizing Kuroda’s theory.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theory of kenmithu system because it is a theory based on binary opposition and development from the inside, as well as it lacks the East Asian views.
    The historical study of Buddhism in the Koryo Dynasty in Korea began in earnest in the 1970s, when the theory of religious association was raised, which was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at that time that emphasized social reform. This theory is clear in its dichotomous view of the scheme of conservative versus progressive, aristocratic Buddhism versus popular Buddhism. However, the theory itself has logical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First, the theory views the religious association in terms of social reform or maintains that the religious association is a Buddhist reform movement. But such a claim is not founded on concrete evidence, and the specific details of reform are not clear. Second, it does not clearly explain the difference of Suseonsa(修禪社) and Baekryeonsa(白蓮社) from other religious associations. Third, its explanation of the social basis of the group that led the associations,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associations, the status, and the influence of the religious associations is rather simplistic; in some cases it stretches the meaning of incidents that have limited significance. Fourth, religious associations did not bring on a fundamental change in the Buddhism of the late Koryo period, and there was a considerable influence of Hwaum thoughts(華嚴思想). Fifth, the theory is vagu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ower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religious associations. The theory of Kamakura New Buddhism and the theory of religious association are both inordinate projections of the modern perspective, as well as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unduly apply the current viewpoint of researchers. In addition, these discourses are conf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history of a nation and have not attempted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Buddhism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