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미니즘 교육은 (불)가능한가? (Is Feminism Education (Im)Possib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9
37P 미리보기
페미니즘 교육은 (불)가능한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34권 / 3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엄혜진

    초록

    올 초 초 중등학교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 청원을 전후로 페미니즘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청이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현재의 현실을 진단하여 페미니즘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를 탐색했 다. 첫째, 페미니즘 지식 생산 및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가 정체되어 있다. 학제 간 연구로서 여성학의 저변은 넓어졌지만, 독립 분과 학문으로서 여성학의 학문적 시민권이 여전히 취약한 상황에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양지 식의 개발과 페미니즘 교육 주체 생산이 요구된다. 둘째 초 중등학교에서 잔여적인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는 성평등 관련 교육은 젠더와 섹슈얼리티 개념을 착종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성평등(gender equality)을 양성 간의 형식적 균형을 조율하는 ‘양성 평등’의 개념으로 치환하려는 젠더정책 흐름의 효과이면서 핵심적인 생산지대가 되 고 있다. 셋째 수월성을 목표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교육 체제는 이상적 시민을 ‘경쟁 력 있는 개인’이라는 젠더중립적 존재로 표상하지만, 실은 남성 주체를 특권하고 여 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규범을 재생산하고 있다. 성적 차이를 가진 시민들의 공존의 전망과 돌봄 민주주의의 상상력을 가로막는 교육 제도와 실천을 넘어서는 것, 이것 이 페미니즘 교육의 도전 과제이자, ‘교육 불가능성’의 시대를 넘어설 페미니즘 교육 의 가능성이다.

    영어초록

    Care Since the petition for compulsory feminism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earlier this year, public interest and request for feminism education have been growing. However, we should remind the fact that there are already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well as sex educatio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these programs are dispersed. In this paper, prior to half-baked policy-level effort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need to diagnose the current structure blocking realistic and effective feminism education, and analyze this in three dimensions. Firstly, there is the problem of stagnation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earch in feminist pedagogy. Though the gender studie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ve widened so far,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scholarly citizenship of gender studies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s still fragile, the systemic development of general knowledge based on feminist pedagogy and the production of agents of feminism education have been difficult. Secondly,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as a kind of remnants, has been performed insufficiently, not only entangles the concepts of gender and sexuality but also is, in itself, a effect and at the same time key production zone of gender policy tendency, which transforms gender equality into a formal balance keeping mechanism. Thirdly, the neoliberal education regime, aiming at nurturing individuals with merit and competitiveness, reproduces gender norms which privilege male subject, assuming the ideal citizen as a gender neutral being.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practice, which blocks the vision of coexistence of citizens with sexual differences as well as and imagination of caring democracy, are becoming structural obstacles against feminism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